식약처, 사전·응급 피임제 분류 현행 유지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5-20 14:32:35
  • -
  • +
  • 인쇄
피임제 안전사용 지원대책 확대 추진
△ 식약처_(2)1.jpg

(서울=포커스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지난 3년간 피임제 사용실태, 부작용, 인식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피임제 분류를 현행(사전피임제는 일반의약품, 응급피임제는 전문의약품)대로 유지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결정은 △응급 피임제의 오남용 우려 상존 △피임제 관련 인식 부족 △중대한 피임제 부작용 보고 감소 등을 고려한 것이다.

이번 실태조사·연구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홍익대학교 법과대학 이인영교수,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 이임순교수,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장민정 교수 등 참여)이 전국 15-59세 남녀 6500명을 대상으로 피임제 사용실태, 부작용 발생 등에 대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실시했다.

실태조사.연구결과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사전 및 응급 피임제 생산‧수입액은 2013년 235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나 2014년 163억원, 2015년 170억원으로 감소했다.

사전피임제는 2013년 208억원에서 2014년 116억원, 2015년 128억원으로 감소했으며 피임목적보다는 생리 일정 연기 등의 목적으로 사용을 많이 하고 있다.

응급피임제는 2013년 28억원, 2014년 43억원, 2015년 42억원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1개월 내 재처방시 생리주기에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의약품임에도 재처방률이 3%에 달했다.

또한 여성 및 청소년(여성) 등을 대상으로 사전 및 응급 피임제 사용방법, 기간 및 부작용 등 피임제 사용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내용을 정확히 알고 있는 여성은 사전피임제의 경우 33%, 응급피임약은 44%로 나타났다.

특히 청소년(여성)의 경우 응급피임제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청소년(여성)이 36% 수준으로 조사돼 피임제 안전사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피임제 관련 지식은 광고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피임제는 의약사로부터 정보를 얻는 경우가 약 24%였지만, 주변사람들로부터 얻는 경우는 이보다 2배 많은 47%에 달했다.

응급피임제의 경우도 전문가를 통한 정보습득이 18%수준으로 조사돼 대부분은 주변사람, 인터넷 등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는 이번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피임제 안전사용에 대한 지식 부족 등을 해소해 건강한 피임‧출산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교육부, 여성가족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피임제 안전사용 지원’ 정책을 확대‧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식약처는 향후 5년마다 허가된 피임제의 안전성 관련 자료 등을 검토하는 품목 갱신제도를 통해 피임제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며 “건강한 피임과 출산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피임제 안전사용 지원정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사진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