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호 게이트' 네이처리퍼블릭 직격탄…비자금·횡령 입증할까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5-19 18:00:21
  • -
  • +
  • 인쇄
직원부터 주주까지 수사선상 오르며 내부 불안감 증폭

검찰, 차명주식 보유자 전수조사 등 수사 확대
△ 검찰, 네이처리퍼블릭 압수수색

(서울=포커스뉴스) 변호사 폭행 논란으로 불거진 이른바 ‘정운호 게이트’가 네이처리퍼블릭에 직격타를 날리며 확대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이원석)는 지난 3일 진행한 네이처리퍼블릭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에서 회사의 주주명부를 확보했다.

검찰은 해당 주주명부를 통해 차명주식 보유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9년 설립된 네이처리퍼블릭은 지난 2010년 정운호 대표가 지분 100%를 인수하면서 사실상 개인회사 형태를 띄고 있었다.

그러나 2011년 네이처리퍼블릭의 증권시장 상장 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유상 증자 등을 거치면서 올해 3월 기준 정 대표의 지분은 약 73.8%로 감소했다.

그러나 검찰은 정 대표가 주식을 매각한 과정에 의혹을 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정도박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으며 로비 명목으로 법조계 관계자들에게 주식이 건네졌을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검찰은 앞서 지난 17일 부산의 Y업체를 비롯해 네이처리퍼블릭 납품업체와 대리점 등 5~6곳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을 통해 회계자료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납품 계약서, 매장 계약서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네이처리퍼블릭이 납품업체에서 화장품 등을 공급받고 매장과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단가를 부풀리는 등의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네이처리퍼블릭이 운영하는 직영매장 관리 업체들 역시 이같은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상습도박 혐의로 구속돼 다음달 5일 출소하는 정 대표에 대해 횡령혐의를 적용해 다시 기소하거나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정 대표가 부하 직원을 통해 거액을 가져오라고 요구한 사실 역시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대표가 지난해 네이처리퍼블릭에서 대여한 17억9200여만원에 대해 횡령 혐의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정 대표는 지난해 1월 최대주주 신용공여 형태로 네이처리퍼블릭에서 17억9200여만원을 빌렸고 40여일 뒤 상환을 완료했다고 공시했다.

그러나 검찰은 정 대표가 부하 직원에게 “돈이 필요하니 가져오라”고 지시했고 이는 횡령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처럼 ‘정운호 게이트’가 계속해 확산 조짐을 보이면서 네이처리퍼블릭 역시 상당한 타격을 받고 있다.

검찰 수사가 시작된 후 계속해 실적이 악화하고 있는 것은 물론 수사가 납품업체부터 주주, 대리점주 등에까지 확대되면서 상장 무산에 대한 우려까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현상이 지속될 경우 직원들의 대거 이탈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실제로 네이처리퍼블릭 내부 사정에 밝은 A씨는 “원정도박으로 대표가 구속됐을 때부터 내부적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다”면서 “그런데 이번에는 법조계부터 사회 전반에 대한 로비의혹까지 확산하다보니 직원들의 걱정이 큰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의 전방위 구명로비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본사 등을 압수수색하고 있는 3일 오후 서울 강남구 네이처리퍼블릭 본사에서 직원들이 출입문을 신문, 플래카드 등으로 막고 있다. 2016.05.03 조종원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