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kakaotalk_20160519_122810973.jpg |
(서울=포커스뉴스)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자 수가 올해 들어서만 추가로 566명(사망자 41명, 생존 피해자 525명)이 파악되면서 총 피해자 수는 1848명으로 집계됐다.
장하나 의원과 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은 19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간신고센터가 올해부터 지난 4월25일까지 접수한 피해자수 합계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로써 가습기 살균제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망자는 266명, 생존 피해자는 1582명으로 총 인명피해 규모는 1848명에 달한다.
환경부는 산하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 하여금 가습기 살균제 피해신청접수를 지난해 12월31일로 마감, 2016년부터 신고를 받지 않아 시민단체와 피해자가족모임이 민간신고센터를 설치한 바 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의 임홍규 팀장은 "(언론의 관심이 집중되던) 4월20일쯤부터는 피해신고가 하루에 500~1000건 들어오고 있다"며 "피해신고는 우리가 생각했던 숫자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보도자료에서 "지금까지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던 인구가 900만~1000만명에 달하고, 그중에서 위험인구라고 할 수 있는 고농도로 노출되거나 건강피해를 경험한 잠재적 피해자가 30만~230만명에 달한다"고 지적하며 "이 같은 추산을 고려하면 피해신고자 1848명은 0.6~0.08% 수준으로 여전히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가습기살균제피해자모임의 강찬호 대표는 "피해자가 이렇게 많은데도 환경부가 발을 빼려고 한다는 게 믿겨지지가 않는다"며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에 미온적으로 대처하는 환경부의 태도를 규탄했다.
장하나 의원은 "수차례 확인한 바에 따르면 검찰은 정부 책임은 수사선상에 올려놓지도 않고 있고, 가습기 살균제 원재료인 CMIT/MIT를 원료로 하는 이마트·홈플러스의 PB 상품에 대해서도 수사할 계획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며 "지금 검찰의 수사는 반의 반쪽도 안되는 수사"라고 비판했다.장하나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과 환경보건시민센터,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 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2016.05.19 송은경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