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노조 “희망퇴직 연장은 할당량 채우기” 강력 반발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5-17 11:09:57
  • -
  • +
  • 인쇄
현대중공업 희망퇴직 20일까지 연장

사측 “고민할 시간 주기 위한 조치”

노조 “감원 확대하기 위해 연장한 것”
△ 현대중공업

(서울=포커스뉴스) 현대중공업이 지난 15일로 마감하기로 했던 희망퇴직 접수기간을 20일까지 연장했다. 노조는 여성 직원들이 새로운 희망퇴직 대상이 될 것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진행한 사무직 과장급 이상을 대상으로 한 희망퇴직 접수기간을 오는 20일까지로 연장한다고 17일 밝혔다. 사측은 “희망퇴직에 대해 직원들의 문의가 계속 오고 있고, 좀 더 고민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아서 접수기간을 연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연장이 서무직 등 여성 직원들에게 희망퇴직을 확대하기 위한 조치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노조 관계자는 "이번주부터 사측이 여성 근로자들을 새로운 구조조정 대상자로 정하고 퇴직 관련 면담 신청을 할 것이라는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현대중공업의 감원 과정에서도 연차가 높은 여성 근로자들 160여명이 회사를 떠난 바 있다.

노조는 이날 노보를 통해 이른바 퇴직 압력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이들은 “노동조합에 많은 전화가 쇄도했다. 사측이 각 사업부와 부서에서 대상자를 사전 선정해 퇴직 압박을 했다”며 “소문에 따르면 각 사업부 인재운영부 책상에 희망퇴직 신청 서류가 엄청 쌓여있다 전해진다”고 말했다.

노조 관계자는 “순수 희망퇴직자를 받는다고 했는데 실질적으로 사업부별로 할당량을 책정해서 찍어내는 분위기”라며 “이번 연장은 할당량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강조했다. 사측이 목표로 하는 감원 인원을 채우기 위해서 강제 희망퇴직이 이뤄지고 있고, 대상이 여성 직원들에게까지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현재 과장급 이상 사무직 희망퇴직만이 벌어지고 있지만, 사측이 목표한 감원목표를 채우지 못하면 결국 생산직을 포함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노조는 희망퇴직 등 강제 구조조정에 반대하며, 강경 투쟁을 벌이고 있다. 17일 오후 2시에는 울산시청에서 현대중공업 노조, 일반직지회, 사내하청지회가 공동주최하는 ‘강제 희망퇴직 규탄, 하청노동자 임금삭감 철회, 구조조정 중단’ 기자회견이 열린다. 노조 대·소위원, 활동가 등은 지난 16일부터 매일 정오에 모여 대량해고에 반대하는 중식투쟁도 벌이고 있다.

이들 노조는 국회도 찾는다. 조선노연 대표자들은 19일 오전 ‘대량해고 반대, 조선업 강화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는 국회 기자회견을 연다. 조선노연(조선업종 노조연대)은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한진중공업·현대미포조선·STX·성동조선 등 각사 노조의 연합체다. 같은날 오후에는 여야 정당 국회의원과의 간담회도 개최된다.

앞선 9일 수주급감 등 최악의 위기에 몰린 현대중공업은 15일까지 사무직(연구직 포함) 과장급 이상 비조합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퇴직위로금으로 최대 40개월의 약정임금이 지급되며, 정년(60세)까지 근무기간을 고려해 자녀를 위한 고교·대학 학자금도 지원된다. 이번 희망퇴직은 현대중공업 뿐 아니라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힘스, 현대E&T등 조선관련 5개사에서 함께 진행 중이다.(서울=포커스뉴스) 서울 종로구 율곡로 현대중공업. 2016.05.11 김인철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