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가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현상에 대한 선제적·체계적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10년간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 서울 전역의 젠트리피케이션 흐름을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정책지도 개발에 착수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낙후됐던 구도심이 번성해 사람들이 몰리면서 임대료가 상승하고 기존 원주민들이 밀려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시는 자치구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업무지침을 마련하고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검토하는 등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논의할 전문가 그룹도 구성한다.
서울시는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한 상생·협력 중심의 바람직한 젠트리피케이션을 유도하기 위해 이와 같은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이달 중으로 연구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용역은 연내 완료할 계획이다.
시는 정책지도 개발 방안 연구와 정책방향 논의 등 투트랙(Two Track)으로 용역을 수행할 기관·단체를 경쟁입찰 방식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도시재생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관심과 창의적인 능력이 있는 기관·단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먼저 정책지도 개발은 지난 10년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등 주요지역을 포함한 서울시 전역의 인구이동, 부동산거래 등 다양한 빅데이터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할 예정이다.
또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논의할 전문가 그룹은 건축·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실무진으로 구성한다.
이들은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주민협약 체결 등에 활용 가능한 업무지침을 마련하고, 주거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자생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정책사업을 발굴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상생·협력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