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탈출한 사람 500여명 불과해
'서신교환', '경제적 지원', '일본 고향 방문' 등 약속 어겨
![]() |
△ 재일북송피해자가족협회 |
(서울=포커스뉴스) '재일동포 북송사업'을 통해 북한으로 건너갔던 피해자들이 북한 정권의 반인권적 유린행위를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한 조직적 활동에 돌입했다.
'재일북송피해자가족협회'는 1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협회 발대식 및 피해사례 증언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 정권은 전후 일본 사회에서 핍박에 시달리던 재일 동포들을 달콤한 말로 회유해 북한으로 불러들였지만 우리가 마주한 것은 참혹한 현실이었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1959년 북한과 일본 적십자 간 체결한 '재일 조선인 귀환에 관한 협정' 이후 추진된 재일동포 북송사업을 통해 북한으로 건너갔던 피해자들로 1990년대 '고난의 행군' 당시 식량난을 이기지 못하고 탈북한 경우가 대다수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북한 정권에 대한 성토가 여기저기서 줄을 이었다.
재일동포북송사업을 연구해온 윤여상 북한인권정보센터 소장은 재일동포 북송사업을 가리켜 "전쟁 이후 재일 조선인 문제로 골머리를 썩이던 일본 정부와 대규모 노동력이 필요했던 북한 정권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며 벌어진 끔찍한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북한은 일본에서 건너온 재일동포들에 경제적 지원, 일본 고향 방문, 서신 교환 등을 약속했지만 하나도 지켜진 것은 없었고 오히려 각종 인권 침해를 겪는 등 피폐한 삶을 살았다"고 말했다.
윤 소장은 "1958~1984년에 걸친 재일 동포 북송 사업을 통해 총 9만3340명이 북한으로 송환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도 "현재 북한에 남아있는 북송피해자들의 실태나 현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고 다만 연령 분포 등을 고려해 상당수의 재일 동포가 이미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재일북송피해자 1세이기도 한 이태경(64) 협회장은 "북한 사회의 실상을 쉽게 설명하자면 세계인권선언의 30개 조항이 단 하나도 지켜지지 않는 나라"라며 "북한에서 살았던 45년간 단 하루도 국가안전보위부의 감시로부터 자유로웠던 날이 없었다"고 증언했다.
이어 "당시 22가구 100여명과 함께 살았는데 이중 16명이 정치범수용소에 감금됐다. 또 이들을 동정하거나 생사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반동죄로 붙잡아가려고 했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피해자 유선우씨도 "북한은 인간으로서 누릴 수 있는 모든 자유와 권리가 제한당하는 곳"이라며 "오죽하면 기대와 다른 북한의 현실을 보고 절망해 도착한 그 날 투신한 사람도 있었다"고 증언했다.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피해자들은 200여명 정도다. 협회는 일본에도 200~300여명의 피해자가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협회는 이들과의 연대를 확대해 △재일동포 북송사업을 주도한 조총련의 해체 △독재국으로의 귀환사업을 묵인한 일본 정부의 사죄 △북송사업 관련 가담자 처벌 △북한에 억류된 재일동포 석방 △북송 동포에 대한 물적 보상 등의 실현을 위한 활동을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광일 협회 사무국장은 "이제 막 출범한 단체로서 당장의 성과를 내기는 어렵겠지만 꾸준한 활동을 통해 국제사회에 목소리를 내고 일본 및 북한 정부의 북송 사업 관련자들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협회는 12일 일본대사관을 항의 방문해 조총련 내 북송사업 담당자 처벌과 조총련 해체를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할 예정이다.'재일동포 북송사업'을 통해 북한으로 건너갔던 피해자들이 1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재일북송피해자가족협회 발대식및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 정권의 반인권적 유린행위에 대해 증언했다. 장지훈 기자 jangpro@focus.co.kr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