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지원 하에 전 세계 수주량 절반 차지
![]() |
△ 사본_-(1)_현대중공업_lng_fsru.jpg |
(서울=포커스뉴스) 국내 조선업계가 4월에 한 척의 선박도 수주하지 못하며 심각한 수주가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분기까지 수주가 9척에 그친 데 이어, 상황이 더 나빠진 것이다.
10일 영국의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4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31척 149만CGT(가치환산톤수)로 집계됐다. 지난 3월 발주량 150만CGT(46척)와 비슷한 규모다.
한국은 4월에 1척의 선박도 수주하지 못했으며, 일본은 2척(5만CGT)를 수주하는 데 그쳤다. 반면 중국은 4월에도 전세계 발주량의 48%인 72만CGT(18척)을 수주하며 세계 시장에서 가장 선전했다. 3월에는 중국이 101만CGT(26척), 한국이 11만CGT(6척)을 기록했으며 일본은 수주량이 없었다.
1~4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389만CGT(114척)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1047만CGT(473척)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중국은 192만CGT(59척)를 수주하며 시장점유율 49.3%를 차지했다.
중국 조선업계의 이같은 선전은 중국 정부가 발주하는 선박을 집중적으로 수주한 영향이 컸다. 중국은 올해 자국 선사가 발주한 40만DWT급 벌크선 10척(48만CGT)을 수주했고, 지난 3월에도 자국 선사로부터 40만DWT급 벌크선 20척(96만CGT)을 수주한 바 있다.
반면 한국과 일본은 각각 20만CGT(9척, 시장점유율 5.1%), 18만CGT(8척, 시장점유율 4.6%)를 수주하는 데 그쳤다.특히 지난 1분기 한국의 수주 실적은 현대중공업 3척, 현대삼호중공업 2척, 현대미포조선 1척, 연수중공업 3척 등 총 9척에 불과하다. 월별로는 1월 1척(2만4496CGT), 2월 2척(6만1204CGT), 3월 6척(11만4292CGT)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선박 발주량 감소 여파로 수주잔량 감소 추세도 계속되고 있다. 4월말 기준 전세계 수주잔량은 1억168만CGT로 지난 달(1억177만CGT)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3776만CGT, 한국 2673만CGT, 일본 2087만CGT 순이다.
4월에도 선가 하락이 계속됐다. VLCC가 3월에 비해 척당 50만달러 하락했으며, 컨테이너선도 주요 선종에서 모두 3월에 비해 척당 100만달러씩 하락했다. LNG선도 척당 100만~150만 달러 하락했다. 4월 클락슨 선가지수는 130으로 3월과 동일하다.현대중공업의 ‘LNG-FSRU’<사진제공=현대중공업>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