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숭실대학교 법과대학 학생들이 학교 본부를 향해 학과폐지안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숭실대 법학과 학생들로 구성된 법과대학긴급대책위원회는 10일 오후 1시 서울 동작구 숭실대 베어드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생들의 동의 없는 법과대학 폐지안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숭실대는 2017년 대학구조개혁평가를 대비해 법과대학 등 6개 단과대학(법과대학‧사회과학대학‧경영대학‧경제동상대학‧인문대학‧베어드학부대학)을 3개로 통‧폐합하는 학사구조개편안을 고려하고 있다.
대책위는 "단과대학 통합은 중대한 사안이므로 학생들과 교수들이 주체가 돼 충분한 논의 후에 결정돼야 하지만 학교 본부는 학생들의 의견수렴은커녕 통보조차 없이 개편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본부가 추진하고 있는 개편안은 지난해 프라임(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과 관련해 논의됐다가 철회된 내용"이라며 "당시 졸속 처리한다는 학생들의 비판이 있었음에도 반성한 점이 없어 보인다. 반복된 독단적 결정을 강력하게 규탄하고 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학구조개혁평가는 학령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2023년까지 대학정원을 16만 명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교육부가 지난해 2월부터 시작한 평가다.
평가 지표에는 교육 여건과 학사 관리뿐만 아니라 취업률이 연계되는 교육 성과, 특성화 등도 반영돼 순수학문 영역을 위협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숭실대는 지난해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10일 오후 1시 서울 동작구 숭실대학교 베어드홀 앞에서 법과대학 학생들로 구성된 법과대학긴급대책위원회가 '법과대학 폐지안 촉구'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박나영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