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중 고시할 예정…정비구역 지정 등은 고시 이후 본격화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가 4대문 안 도심과 광역중심지 내 상업·준주거지역에 대해 역사문화적 가치는 보전하고, 낙후된 지역은 정비를 확대하는 방향의 '투 트랙(Two Track)' 방식의 정비전략을 세우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으로 도심 3곳, 광역중심 7곳 내 상업·준공업지역 도시정비 기본 계획을 담은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도시환경정비사업부문)'이 지난 4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9일 밝혔다.
도심 3곳은 △한양도성 △강남 △영등포·여의도이며, 광역중심 7곳은 △용산 △청량리·왕십리 △창동·상계 △상암·수색 △마곡 △가산·대림 △잠실 등이다.
서울시는 한양도성 내 도심지의 경우 역사문화중심지 보전을 위해 재개발 예정구역 약 110만㎡를 해제한다는 방침이다.
또 영등포·여의도는 정비사업 예정구역을 확대 적용해 국제금융 기능을 강화하고, 가산·대림 및 성수 지역은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과 연계, 창조적 지식기반 산업 집적지 육성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준공업지역 등 낙후된 곳은 정비예정구역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세부적으로는 △영등포 대선제분공장 일대 △용산 남영동 업무지구·삼각맨션부지 △서대문 충현동 일대 등이다.
이번 기본계획은 시가 앞서 수립한 '2030 서울플랜', '역사도시기본계획' 등 상위 계획의 실행수단이다.
시는 도시재생의 패러다임을 과거 전면 철거 위주에서 '보전'과 '개발'의 투 트랙 방식으로 전환해 도시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이같이 확정된 '2025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을 재공람한 후 오는 7월 중 고시할 예정이다. 정비구역 지정 등은 고시 이후 본격화될 전망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 확정으로 2030 서울플랜 등 그동안 서울시가 내놓은 여러 도시관리정책들이 실행력을 담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이 9일 서울시청에서 2025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김충범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