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kakaotalk_20160503_113927260.jpg |
(서울=포커스뉴스) 서울 성동구 서울숲의 운영 프로그램과 자원봉사활동, 시설 안전관리, 시설물 유지보수 및 정비 등을 이르면 올해말부터 민간이 맡게 된다.
3일 오전 서울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시의회 임시회 폐회식에서 진행된 '서울숲 민간위탁 동의안' 표결이 찬성 46표, 반대 18표, 기권 4표로 가결됐다.
앞서 지난해 10월 서울시는 '서울숲 유지 및 보수 민간위탁 동의안'을 제출했다.
시는 동의안에서 "서울숲은 2005년 개장한 이후 많은 시민들과 시민단체들이 참여해 자원봉사, 프로그램 진행 등 다양한 형태로 관리·운영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공원 역할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가 점차 높아지고 다양화되면서 시설과 공간 제공 중심의 관리로는 시민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게 됐다"며 "시설과 공간을 활용한 양방향, 맞춤형 공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원관리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민간참여가 활성화된 서울숲의 관리·운영을 비영리단체에 공개적으로 위탁관리해 민·관리 협력하는 이용자 중심의 공원관리를 실현하고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기회 확대를 통해 공원의 가치를 증진시키며 점진적으로 공원관리 예산을 절감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민간에 위탁하는 내용은 △시설 안전관리 △시설물 유지보수 및 정비 △동물, 식물, 동물사, 녹지 및 공원생태계 관리 △공원 청소, 쓰레기 처리 및 환경정비 △시설이용 승낙 및 이용료 징수 △재산관리 및 도시공원대장 작성·관리 △곤충식물원·나비정원 운영 △곤충식물원·나비정원 운영 △이용자모니터링 및 공원이용 통계·평가 등이다.
시는 민간위탁을 통해 민·관 협치를 통한 새로운 공원 관리 모델을 창출하고 기부금 등 기금 마련을 통해 서울숲 관리비용을 낮출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민간의 전문지식과 시민네트워크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숲 민간위탁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있다.
이상묵 시의원(새누리당·성동2)은 이날 시의회 임시회 폐회식에서 "동의안에 대해 존중한다"면서도 "아닌 것은 아닌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환경은 실험의 도구가 될 수 없다. 가꾸기는 어려워도 망가지는 것은 쉽다. 서울숲이 왜 실험장이 돼야 하나"며 "시민을 대상으로 시험하려는 시의 방침에 대해 반대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민간위탁 동의안의 목적이 시민을 위한 것인지 특정 시민단체를 위한 것인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국내에서 최초로 도입되는 것이라 우려의 목소리가 많은 것을 알고 있다"며 "특정 시민단체를 정해두고 하는 것이 아니며 공개모집 형태로 민간 위탁 시민단체를 선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올해 시행을 목표로 하지만 늦어지더라도 철저히 준비해서 시행하겠다"고 말했다.<사진출처=서울숲 홈페이지>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