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적 구조조정만으로 해결할 수도 없어
해운업체 법정관리행 가능성 배제 못해
![]() |
△ 한진해운 위기 극복한가 |
(서울=포커스뉴스) 기업 구조조정이 과거처럼 원활하게 이뤄질 가능성이 작다는 진단이 제기됐다. 정부 주도의 일사불란한 구조조정을 할 수 없는 구조인데다 재무적 구조조정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경영환경이라는 분석이다.
일부 기업은 법정관리로 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나왔다.
NH투자증권은 2일 "우선 달라진 기업환경과 여신구조로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과거와 달리 은행권 중심이었던 기업 여신이 직접금융의 비중이 크게 늘어나면서 채권단과 주주들의 동의가 중요해졌다. 따라서 정부의 일방적인 주도로 구조조정을 진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NH투자증권은 외환위기 당시 빅딜이 그룹 간 서로 다른 사업을 맞교환하는 방식이었으나 현재는 대상이 해운과 조선업종으로 국한돼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업종 내 상위업체가 다른 업체를 인수해야 하지만 선두업체들마저 어려움을 겪고 있어 과거와 같은 빅딜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거시와 경영환경도 구조조정을 어렵게 한다. 외환위기 당시에는 재무적 구조조정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 많았으나 현재는 경기 침체의 장기화와 투자 위축으로 재무적인 해법으로도 생존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4조원 이상을 쏟아붓고도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은 STX조선해양을 비롯한 중견 조선업체들이 그 예라고 NH투자증권은 적시했다.
NH투자증권은 "이번 구조조정을 정부나 금융권이 아닌 기업이 주도해야 하는데 이를 주도할만한 선두업체가 없다"며 "매각을 진행하더라도 부실정리 이후 가능해 구조조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NH투자증권은 용선료 인하 협상을 낙관하기 어려운 만큼 현대상선, 한진해운 등 해운업체들의 법정관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서울=포커스뉴스) 제1호 해운사인 한진해운이 심각한 경영난으로 재무구조 개선 및 경영정상화를 위해 채권단에 자율협약을 신청한 2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진해운 본사 로비에 직원들이 지나가고 있다. 2016.04.27 허란 기자 <출처=NH투자증권>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