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인력감축? 방만경영한 현대중공업 경영진에 먼저 책임 물어야"
![]() |
△ 권오갑 사장, 구조조정 중단 약속 이행하라 |
(서울=포커스뉴스) 구조조정 위기에 몰린 현대중공업 노동자들이 정치권과 현대중공업에 구조조정 중단과 관련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현대중공업노동조합은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업종 과잉투자를 내버려둔 정부와 방만 경영을 일삼은 현대중공업은 노동자에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지 말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6일 '제3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 이후 '경기민감업종 구조조정', '상시 구조조정', '선제적 구조조정' 등 3대 기업구조조정 추진방향을 발표한 바 있다.
이들 단체는 당시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경기민감업종 구조조정을 조선·해운업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유감의 뜻을 밝히는 한편 정부가 경제정책 실패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조선업을 희생양으로 삼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전명환 현대중공업 노조 고용법률실장은 1972년 현대중공업 창사 이후 사업장 내 노동자 안전사고 사망사건이 400차례가 발생한 것을 지적하며 정치권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전 고용법률실장은 "2016년에만 5명의 노동자가 사고로 사망했다. 이는 무분별한 구조조정으로 인해 미숙련 하청업체 노동자들이 고위험 작업에 투입되면서 발생한 인재(人災)"라며 "기업의 안전관리 책임을 강화하고 의무를 어긴 사람은 처벌할 수 있도록 기업살인법을 제정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정부와 국회에 △재벌개혁 통한 부실경영 책임 추궁 △조선산업 강화특별법 제정 △노동조합 의견 무시한 구조조정 논의 중단 등도 함께 요구했다.
현대중공업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도 쏟아졌다.
정병천 현대중공업 노조 부위원장은 "2015년 6월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은 인위적인 구조조정을 하지 않겠다는 성명을 발표했지만 곧 3000명을 구조조정을 한다는 소리가 널리 퍼졌다"며 "하청 노동자 수천명을 이미 길거리로 내몰고 사무직 노동자들에게도 수시로 희망퇴직을 강요하는 사 측은 구조조정을 중단하고 약속을 이행하라"고 말했다.
또 "현대중공업은 여전히 업계 2위인 데다 부채비율도 143%에 불과해 건실하다. 현대중공업 6개 계열사의 사내유보금만도 19조에 달한다"며 "노동자 인력감축을 이야기하기 앞서 정몽준 최대주주 등 경영진은 경영실패와 수익악화에 대한 책임 있는 자세부터 보이라"고 회사 측을 압박했다.
노조는 이날 기자회견문 낭독을 통해 현대중공업 측에 △구조조정 중단 약속 이행 △경영진 사재 출연 등 자구책 마련 △부실경영 감시 실패한 회계법인·사외이사 처벌 등을 시행하라고 주장했다.
한편 노조는 기자회견 이후 마련된 질의·응답 시간에 '귀족노조 논란'을 해명하기도 했다.
이들은 "금융감독원에 공시된 평균임금(7826만원)은 부풀려진 측면이 크다"며 "한 달에 60시간 이상 잔업과 특근을 해도 공시된 금액에 미치지 못한다"며 "현대중공업의 인건비는 총매출 대비 10% 미만이다. 귀족노조라고 불리는 것은 억울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자회견 이후 노조는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국회의사당, 여야 3당 당사에서 1인 시위를 진행했다.
30일에는 정부서울청사와 서울역 등지에서 다시 한번 규탄 집회를 열 계획이다.(서울=포커스뉴스)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상경한 현대중공업노조원들이 구조조정 중단 및 산업현장 안정을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04.29 이승배 기자 (서울=포커스뉴스)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상경한 현대중공업노조원들이 구조조정 중단 및 산업현장 안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준비하고 있다. 2016.04.29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