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상담·법률상담·정책 설명 등 부스 마련해 시민과 소통
![]() |
△ 현대차-유성기업의 노조탄압 행위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퍼포먼스가 진행되고 인권 상담 부스, 책 판매 부스 등이 설치됐다. |
[부자동네타임즈 이영진 기자] 회사의 노조탄압에 못이겨 스스로 목숨을 끊은 故 한광호 유성기업 노조원의 집중추모기간 마지막날인 23일 시민·사회 단체들이 서울 시청광장에 모여 다양한 문화 행사를 진행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등 72개 단체가 모인 유성기업 범시민대책위원회(유성범대위)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파이낸셜빌딩부터 시청 광장까지 약 500m 거리에 부스를 마련하고 현대차와 유성기업의 노조 탄압 실태에 대해 알렸다.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유성기업은 지난 5년 간 노조활동 감시, 노조원 임금차별, 어용노조 설립 등의 방법으로 노조탄압 행위를 일삼은 혐의로 현재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검찰 수사를 통해 원청인 현대차가 유성기업의 노조 탄압을 기획·지시했다는 정황도 드러났다.
정주회 유성범대위 조직팀장은 "유성기업 사태는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닌 우리들의 문제로 봐야한다"며 "시민들 대부분은 경제활동을 하는 노동자들이다. 유성기업 사태를 함께 고민하고 오늘 행사를 즐길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범대위에 참여하고 있는 단체들은 각각의 특성을 살려 거리에 부스를 설치하고 시민들과 소통했다.
인권활동가 명숙씨는 시민들을 상대로 직장내 '노동자 괴롭힘'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동시에 노동자들이 고충을 털어놓을 수 있는 심리상담 공간도 마련했다.
그는 "제조업·서비스업 가릴 것 없이 우리 사회에 노동자 탄압이 만연해 있다는 사실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이러한 괴롭힘 문화가 개선되기 위해서 필요한 제도들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민변이 설치한 부스에서는 무료 노동 법률 상담이 이뤄졌다.
정준영 변호사는 "하도급 구조가 만연한 국내 고용시장에서 유성기업 사태를 해결하는 것은 원청이 하청 노조에 대한 부당노동행위를 근절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사회가 관심을 보여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정당들의 참여도 돋보였다.
녹색당과 노동당은 부스를 설치하고 시민들에게 노동자의 권리 향상을 위한 정책들을 설명했다.
특히 녹색당은 기본소득 보장을 통해 노동자의 노조 활동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상희 녹색당원은 "노동자들은 사측과 투쟁하는 과정이 장기화 되면 급여를 못받으니 경제적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기본소득이 도입되면 경제적 위축에 구애받지 않고 노조활동이 좀더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기업의 부당노동행위와 관련된 책이나 떡, 묵사발, 빈대떡 등 먹거리를 판매하며 시민들의 발길을 붙잡았다. 판매금액은 유성범대위의 투쟁 지원금으로 활용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