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당시 피해자들에 보상 너무 적었다 주장도
![]() |
△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단체들 |
(서울=포커스뉴스) ㈔사할린강제동원피해자유족회 등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단체들이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후문에서 집회를 열어 조속한 시일내로 유전자 은행을 설치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이들은 일본 오키나와, 러시아 사할린 등에 흩어진 피해자 유골을 봉환하려면 그 후손이 누구인지를 찾아야 해 유족의 유전자 검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신윤순(72·여) 유족회 회장은 "정부가 나서서 해결해도 모자라 판에 이렇게 유족들이 직접 나서야 되겠냐. 죽기전에 가족의 유해를 고국으로 모셔오고 싶은 마음 뿐"이라며 "행자부 장관은 지금 이자리에 나와 유족들에 유전자 은행 설치 관련 사안을 명명백백하게 설명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족들은 최대한 빠른 시일내로 DNA검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일본 정부가 유골 반환을 위해서는 '유족의 유전자검사'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신 회장은 "DNA 대조만 해서 가족이라는 것이 확인되면 당장이라도 유골을 반환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대응이 늦어진다면 유골 훼손, 재개발 등으로 기회마저 잃어버릴 수 있다"며 "유족들은 대부분 고령에 가족도 몇 사람 없다. 조금이라도 서둘러서 피해자들의 한을 풀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한편 이들은 지난 1965년 한일청구권협상 당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이 합당한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유족회에서 활동하는 김동숙(78)씨는 "정작 고통을 받은 것은 일제에 의해 희생당한 피해자와 그 가족들인데 정부는 일본으로부터 받은 돈을 국가개발사업에 썼다. 가족들은 고작 2000만원을 보상받았을 뿐"이라며 정부에 합리적인 보상을 요구했다.
한편 행정자치부 과거사지원단이 내년 신규사업 계획안에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의 유전자 검사를 반영해 기획재정부에 예산 심의를 올렸다.
이 예산은 기획재정부는 타당성 검토 등을 거쳐 오는 9월쯤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단체들이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후문에서 집회를 열어 조속한 시일내로 유전자 은행을 설치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장지훈 기자 jangpro@focus.co.kr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