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6‧25전쟁 당시 가장 치열했던 싸움으로 기록된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 국군의 유해가 북한에서 발견돼 66년만에 부산에 있는 유가족 품으로 돌아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1950년 8월 미 7사단 소속 카투사로 입대해 장진호 전투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고 임병근 일병(1930년생)의 유가족을 방문했다고 21일 밝혔다.
감식단은 이날 부산에 거주하는 임병근 일병의 조카 임현식(71)씨의 집을 찾아가 임 일병 신원확인 통지서와 위로패, 유해수습시 관을 덮은 태극기 등을 전달했다.
미국은 북한과의 합의에 따라 2000년부터 북한 지역에서 미군 유해발굴 작업을 진행하고 있고, 북한 함경남도 장진에서 전사한 임 일병의 유해는 지난 2001년 발굴됐다.
만약 북한이 임 일병의 유해가 한국군이라는 것을 알았다면 미군 유해만 반출한다는 합의 조항에 따라 임 일병 유해는 반출이 불가능 했다.
임 일병 유해는 발굴될 당시 신원 확인을 위해 하와이에 있는 JPAC(합동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 사령부)로 옮겨졌고, 한국군으로 확인된 후 2012년 5월 국내로 봉환됐다.
임 일병 유해가 국내로 봉환된 후 감식단은 정확한 신원을 알아내기 위해 유가족을 찾아낸 뒤 DNA 검사 등으로 신원을 확인했다.
임 일병의 조카 임현식씨는 "삼촌은 조카들이 원하는 것을 직접 만들어 주실 정도로 자상했고 손재주가 많았다"면서 "그런데 어느 날 삼촌이 보이지 않아 여쭤봤더니 남자형제가 4명(4남 1녀 중 넷 째)인데 자신이 대표로 전쟁터에 다녀오겠다고 자원입대한 후 소식이 끊어졌다"고 회상했다.
임씨는 이어 "아버지께서 삼촌의 제사는 꼭 지내야 한다고 신신당부 하셨지만 전사일을 몰라 9월 9일을 기일로 정해 제사를 지내왔다"면서 "다행히 올해부터는 삼촌이 돌아가신 12월 6일에 제사를 지내면 될 것 같고, 살아생전 삼촌 유해를 모시는 게 소원이었는데 이제야 한을 풀었다"고 말했다.
임 일병의 유해는 유가족의 요청에 따라 오는 6월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유해발굴사업은 지난 2000년 6‧25전쟁 50주년을 맞아 한시적 사업으로 시작됐고, 이후 국방부 직할 기관으로 2007년 창설돼 현재까지 국군전사자 9000여 위를 발굴했다.
감식단은 발굴된 유해 가운데 110명의 신원을 확인하고 유가족을 찾아 유품 등을 돌려줬다.6.25전사자 유해 발굴 작업을 하고 있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사진제공=유해발굴감식단>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