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알파고는 슈퍼컴퓨터 간의 정보교류로 자기 학습을 했고, 인공지능까지 수많은 가상대국을 통해 스스로 실력을 급성장시켰다. 이는 가르치고 배우면서 함께 성장한다는 '교학상장(敎學相長)'의 좋은 사례다"
허창수 GS 회장은 20일 서울 강남 GS타워에서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경영진 150여명이 참석한 '2016년 2분기 GS임원모임'에서 알파고를 예로 들며 이같이 당부했다.
허 회장은 "글로벌 경제는 아직도 저성장에 있고, 유가·환율을 비롯한 주요 경제 지표도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GS의 일부 회사가 건실한 성과를 일궈 내고 있는 것은 외부요인도 있겠지만 임직원 모두가 근원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끊임없이 혁신하고 노력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이어 "어려움을 극복하고 미래 성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선 구성원 모두가 공동의 목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며 "목표 달성을 위한 최적의 전략을 선택하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실행에 옮길 수 있는 강력한 추진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 회장은 각 리더들이 각자 조직의 목표를 다시 한 번 점검하고 강력한 실행력을 발휘해 설정 목표를 반드시 달성해 줄 것을 당부했다.
허 회장은 지난 3월 바둑대결을 펼친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바둑 대국을 언급하면서 '이세돌 9단의 끈기와 도전정신, 창의력'에 대해 배울점이 많다고 강조했다.
허 회장은 "이세돌 9단은 알파고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어 시작부터 불리한 상황이었는데도 굴하지 않고 대국을 치르면서 상대의 강점과 약점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새롭고 창의적인 전략을 끊임없이 탐구하여 값진 1승을 거둘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알파고는 슈퍼컴퓨터 간의 정보교류로 자기학습과 수많은 가상 대국으로 스스로 실력을 급성장시켰다"며 "이는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민첩하게 대응해야 하는 근래의 기업 환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교학상장의 좋은 사례"라고 덧붙였다.
허 회장은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벤처기업 마린테크노의 사례를 들며 소개하기도 했다.
허 회장은 "이는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발전시킨 마린테크노의 기업가정신과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GS 계열사의 지원이 어우러진 결과"라며 "앞으로도 이런 성공사례를 모델 삼아 상생과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지원과 관심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