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탐색·연계 과목 최소 5개 이상 선택하도록 지원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목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서울시교육청이 오는 2학기부터 서울지역 일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개방-연합형 종합캠퍼스 교육과정(안)'을 시범 실시한다고 19일 밝혔다.
'개방-연합형 종합캠퍼스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을 확대하는 '개방형'과 학교 간 협력 교육과정을 확대·발전시키는 '연합형'으로 구성된다.
서울교육청에 따르면 단위학교 차원의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은 문·이과로 고정된 계열을 벗어나 학생 자신의 진로를 준비할 수 있는 다양한 과목을 선택해 학생 개인별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도록 하는 방안이다.
예를 들어 '보통교과' 중심으로 개인 교육과정을 만든다면 과학중점·외국어중점·인문사회·자연공학, '실용/직업기능' 중심으로는 실용예술·컴퓨터활용·직업기능 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진로탐색과 진로연계 과목은 최소 5개 이상(15단위 이상)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청은 오는 2학기부터 시범학교를 지정·운영하며 △무계열학급 운영 △블록타임 수업 △유휴교실 확보 △교과교실 정비 등 학교가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단위학교에서 개설하기 어려운 교육과정은 인접한 학교들이 공동 운영하는 권역별 '연합형' 선택 교육과정을 도입해 인근 학교 간 정규 교육과정 일부를 공유하고 서로 학생들을 교환해 운영하게 된다.
이미 시행하고 있는 거점학교형 협력교육 과정과 같은 방식이다.
서울교육청은 각급 학교 신청을 받아 오는 2학기부터 시범 권역을 지정·운영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8년 이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 상반기 학교 교육과정 편성 절차·운영 안내서 등을 개발하고 장기적으로 교육과정 전문가 그룹 양성 등을 추진한다.
또 학교가 다양한 선택과목을 개설하고 교사가 교육과정 운영의 재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감 승인 신설과목 개발 △강사비 지원 △강사 인력풀 구축 △순회 강사 근무 제도 보완 등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근표 서울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은 "교육과정다양화와 학생의 과목 선택권은 1997년 7차 교육과정에서 이미 보장된 내용이다. 20년이 지났음에도 구현되지 못한 게 현실"이라며 "이젠 학생 스스로가 배우고자 하는 내용을 스스로 형성할 수 있게 이번 교육과정을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목고와 특성화고는 학생들이 그에 따른 목적을 갖고 학습하지만 일반계 고교는 진로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가지고 있다"며 "진로 희망과 배우고자 하는 욕구를 채워주기 위한 교육과정"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강사 채용을 위한 예산과 학생들이 이동하면서 생길 수 있는 교통비, 생활지도 등 문제에 대해서는 뚜렷한 해법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이근표 국장은 "관련 예산은 1억원 가까이 지급되고 있는 '일반고 전성시대' 예산을 강사 채용에 사용할 수 있게 안내할 계획"이라며 "올해 수요를 보고 내년도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기본적으로 가까운 학교를 대상으로 꾸려질 것"이라면서도 "교통비는 고민해볼 부분이다. 아마도 본인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