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약 개발·공급 환경 지원
![]() |
△ gsk.jpg |
(서울=포커스뉴스) GSK는 저소득 국가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치료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복제약 개발·공급 장벽을 완화키로 했다.
저소득 국가에는 의약품 특허를 출원하지 않고, 중하위 소득국가에는 GSK 의약품의 복제약을 10년동안 공급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GSK의 최고경영자(CEO) 앤드류 위티는 최근 열린 의약품 접근성에 대한 UN 고위급 패널(UN High Level Panel on Access to Medicines) 회의에 앞서, “GSK가 세계 최빈국의 더 많은 사람들에게 혁신적인 의약품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들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지적재산권은 신약 연구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뒷받침하고 장려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GSK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유연한 접근이 개발도상국에서 증가하는 여러 보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GSK는 최저개발국 및 저소득국가에서 의약품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지 않기로 했다.
저소득 국가의 제약회사가 GSK 의약품의 복제약을 제조,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중하위 소득국가에 대해서는 특허를 신청하되, GSK 의약품의 제네릭을 10년 동안 공급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제공,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GSK 관계자는 “중하위 소득국가들에 적용되는 판매액 대비 로열티는 매우 낮은 수준이 될 것”이라며 “해당 기간 동안 경제성장으로 중하위 소득상태를 벗어나는 국가에도 계속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고소득 및 중상위 소득국가, G20 국가에서는 계속해서 온전한 특허보호를 추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사진출처=GSK>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