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기업 내 생산·영업·회계 등 프로세스 통합 연계 관리 시스템
![]() |
△ 삼성전자 서초사옥 |
(서울=포커스뉴스) 삼성전자가 8일 경기창조혁신센터·경기섬유연합회와 경기 '섬유연합사의 스마트공장'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MOU의 주요 내용은 경기지역 영세 섬유업체에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을 구축하는 것이다. ERP는 기업내 생산·영업·구매·재고·회계 등 회사의 경영에 관계된 모든 프로세스들을 통합적으로 연계해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시스템 설치 비용은 산업부와 삼성전자가 일부 부담하고, 나머지는 개별 기업이 부담한다.
ERP 구축 지원 대상 기업은 성신섬유를 비롯한 경기 지역 섬유업체 16개다. 지원 방식은 1개의 시스템 공급기업이 다수의 수요 기업에 대해 표준화된 ERP를 공급하는 것이다. 시스템이 구축되면 삼성전자의 시스템 전문가가 시스템 개발단계부터 정착까지 전 기간 동안 멘토로 참여해 운영 노하우를 전수한다.
경기 북부지역(양주,포천,동두천)은 섬유니트의 편직과 제직을 하는 영세 기업 1500여개가 밀집해있다. 세계 섬유소비 추세가 정장(직물)에서 최근 스포츠와 캐주얼(니트)로 변화하고 있으며, 세계 고급 니트의 약 40%가 이 지역을 기반으로 생산되고 있다.
국내외 섬유 원단 시장의 경쟁 환경 속에서도 경기 지역 섬유업체들은 수주부터 생산, 출하에 이르는 모든 프로세스를 70년대와 유사한 수작업에 의존해 왔다. 경기 지역 섬유업체들은 비용 부담으로 인해 일반 중소기업에 보급돼 있는 ERP를 도입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경기창조센터와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지원자격요건(종업원수, 년매출)을 완화하고 영세한 섬유기업들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기로 하고 협약을 체결하게 된 것이다.
임덕래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스마트공장 사업을 통해 경기 북부 영세 업체들이 많은 혜택을 보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창조센터와 삼성전자는 올해 경기도 소재 중소·중견 업체 100여개사에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지역 경제 살리기를 통한 고용창출과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스마트공장 사업은 각 지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미래부·산업부·삼성전자가 중소·중견기업의 공장운영시스템과 ICT기반의 제조기술(정밀가공·시뮬레이션·제조자동화)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오는 2017년까지 경북을 포함해 1000개의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확산할 계획이다.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2015.08.17 조종원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