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kakaotalk_20160406_113017072.jpg |
(서울=포커스뉴스) “셀트리온은 램시마 등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신약 개발 등을 통해 글로벌 10대 바이오기업으로 거듭날 것”
김형기 셀트리온 대표는 6일 세계 첫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의 미국 식품의약국(이하 FDA) 허가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세계 첫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가 미국 FDA로부터 허가를 받았다”며 “FDA가 승인을 했다는 것은 글로벌 기업 수준의 기술을 인정받았다는 뜻이다”고 말했다.
김 대표에 따르면 FDA는 류마티스관절염, 강직성척추염, 성인궤양성대장염, 소아 및 성인크론병, 건선, 건선성관절염 등 셀트리온이 신청한 모든 적응증에 대한 판매 허가를 승인했다.
셀트리온은 이번 허가를 통해 미국을 포함해 총 71개 국가에서 램시마를 판매하게 된다.
셀트리온이 개발한 램시마는 세계 최초의 항체 바이오시밀러이자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2012년 7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획득했으며, 2013년 8월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판매 허가를 받은 바 있다.
김 대표는 “램시마의 오리지널 제품인 존슨앤드존슨사의 레미케이드는 세계 시장에서 한해 98억 8500만달러(약 12조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세계 판매액 기준 3위에 오른 블록버스터 항체의약품이다”며 “같은 적응증을 보유한 TNF-알파 억제제는 20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데 램시마가 미국에서 2조 이상의 매출은 충분히 달성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국내 제약산업을 보면 단일 제약사 최대 매출이 1조원 수준이다”며 “램시마가 미국 시장에서 자리를 잡는다면 단일품목으로 1조원을 돌파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그 시점을 올해 또는 내년안에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램시마 이외에도 리툭산(비호지킨스 림프종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허셉틴(유방암 치료제) 바이오시밀러의 미국 진출도 서두르고 있다.
김 대표는 “램시마 이외에도 리툭산,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의 유럽 및 미국 허가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 3개 바이오시밀러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승인받는 제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밖에도 2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개발을 마쳐, 해당 제품의 특허가 만료되는 시점에 다른 경쟁사들과 동일한 시점에 출시가 될 것”이라며 “5개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이 출시되면 빠른 시일 내 10조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하게 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오리지널 제품과의 가격경쟁력을 묻는 질문에는 “한국의 경우 바이오의약품 가격이 아주 저렴하기 때문에 오리지널과 큰 차이가 없지만 미국에서는 30~40% 이상의 약값 차이가 날 것”이라고 답했다.김형기 셀트리온 대표는 6일 열린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의 미국 FDA 허가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민승기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