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광화문 금융위 앞서 상임간부 결의대회 열어
![]() |
△ kakaotalk_20160404_162711334.jpg |
(서울=포커스뉴스) 금융위원회가 금융권에 도입키로 한 '성과연봉제'를 두고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가 노사 간 문제에 정부가 부당개입하고 있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4일 서울 광화문 금융위 본관 앞에서 금융노조는 상임간부 결의대회를 열고 금융위원장 및 금융정책국장의 즉각 사퇴를 요구했다.
금융노조 측은 "최근 7개 금융공기업이 금융사용자협의회를 탈퇴하는 과정에서 금융위가 개입한 사실이 있었다"며 "정부가 요구하는 성과연봉제 도입을 위해 노사 관계에 개입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30일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등 7개 금융공기업은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4차 대표자 회의를 마치고 금융공기업 협의회를 탈퇴한다고 밝혔다.
탈퇴 직전 사측은 임금동결과 성과연봉제 도입, 신규직원 초임 조정을 통한 신규채용 확대를 안건으로 제시했으며 노조 측은 성과연봉제 도입 금지, 성과평가를 이유로 한 해고 및 징벌 등 금지를 내밀었다. 즉, 성과연봉제가 노사 간 논란의 핵심 쟁점이다.
금융노조는 금융위가 올해 초부터 성과연봉제 도입을 강력 추진하고 나선만큼 사측의 산별교섭 불참과 사용자협의회 탈퇴 등의 배경에는 정부가 있다고 보고 있다.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은 "오는 7일 올해 첫 산별중앙교섭을 한다. 하지만 7개 금융공기업들의 사용자협의회 탈퇴로 시작부터 파행될 가능성이 높다"며 "사측이 노동조합의 교섭 요구에 불응하는 것은 노조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부당노동행위"라고 지적했다.4일 서울 광화문 금융위원회에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상임간부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의 노사관계 개입에 대해 규탄했다. 손예술 기자 kunst@focus.co.kr4일 서울 광화문 금융위원회에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상임간부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의 노사관계 개입에 대해 규탄했다.손예술 기자 kunst@focus.co.kr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