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부영 측에 특혜줬다는 인상 해소가 관건"
(서울=포커스뉴스) 부영주택이 마산해양신도시 복합개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가운데, 일대 관련 시민단체들이 반발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진행 과정에서 갈등이 예상된다.
경남 창원시는 지난 1일 선정심의위원회를 개최해 마산해양신도시 개발사업에 단독 응모한 부영주택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조건부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려면 사업계획서 평가가 1000점 만점에 800점을 넘어야 하는데, 부영주택은 845.6점을 획득했다.
심의위원회는 대신 3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시는 부영 측에 세계적 건축가가 참여하는 디자인·설계 일정을 오는 15일까지 제출토록 했다.
아울러 시가 역으로 제안한 일부 구역 아파트 건립계획 철회, 상업시설 및 오피스텔 축소 등 5가지 사항을 반영한 사업계획서를 60일 이내에 내도록 했다. 또 아파트, 상업건물 디자인도 세계적 건축가의 자문을 받아 시와 협의토록 했다.
창원시는 오는 8월말까지 부영주택과 도시경관, 개발규모, 조망·통풍권 등 상세한 개발계획을 협상한 뒤 9월경 실시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개발계획이 창의적이고 지속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때만 실시협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부영이 최종 사업자로 낙점되기까지는 앞으로도 난관이 많을 것이란 평가다. 특히 부영의 계획안이 당초 관광·문화·비즈니스가 결합된 해양신도시로 만들겠다는 구상과 매우 달라, 시민 차원에서의 대규모 반발이 예상된다.
창원시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우선 부영 측이 가장 최근 제시한 복합개발 계획에는 3000가구 가량의 주거·상업시설을 짓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어, 해양신도시는 사실상 '아파트 촌'으로의 변모가 불가피하다"며 "창원시가 역제안을 했어도 부영 측에 특혜를 줬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향후 이 논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어떻게 감시해나갈 것인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 관계자는 "부영의 계획대로 개발이 되면 해안변이 아파트, 사무실, 호텔 건물로 꽉 채워지게 된다"며 "이는 사실상 도시계획학에서 가장 금기시하는 개발 형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특히 섬이라는 특수성까지 작용해 사실상 다수의 시민에게는 배타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며 "사회계층으로 공간이 구분되는 형태의 도시로 봐도 무방한데, 이는 과연 창원시가 조건으로 내 걸은 지속가능한 방향의 도시라고 할 수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