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화는 오물 제거 후 그늘에서 말려야
(서울=포커스뉴스) 최근 기온이 올라가면서 등산이나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이에 아웃도어 브랜드 노스페이스는 1일 봄철 아웃도어 용품을 올바르게 세탁하고 관리하는 법을 소개했다.
노스페이스 측은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나 신발은 제품별로 관리법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기능과 소재에 맞는 방법을 제대로 파악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의류, 라벨 확인해 제품에 맞게 관리해야
아웃도어 재킷의 소재는 매우 다양하다. 의류 안에 부착된 라벨을 먼저 확인하여 그에 맞게 세탁해야 한다.
세탁 시 소재 보호를 위해 지퍼, 벨크로 등을 모두 잠근 후 오염 부분을 먼저 손으로 비벼 빨고, 4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에 중성세제를 충분히 용해시켜 옷을 담가야 한다. 이때 세제가 남아있지 않도록 여러번 헹구는 것이 중요하며, 섬유유연제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세탁 후에는 옷걸이에 걸어 그늘에서 충분히 말려야 한다. 또한, 장기 보관으로 발수성이 저하됐을 수 있기 때문에 시중에 판매하는 발수 처리제를 구입하여 뿌려주는 것도 좋다.
◆ 신발, 오물 제거는 기본.밑창도 확인해야
아웃도어 활동 시 복장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신발이다. 안전을 위해 사전에 등산화의 접지력이나 방수성 및 발수성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등산화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신발에 묻은 오물부터 제거하는 것이다. 등산화의 끈과 깔창까지 모두 꺼내 신발 겉과 속의 먼지를 털어내고, 브러쉬나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주는 게 좋다.
많이 더러울 경우에는 전용세제를 사용해 갑피 부분을 물로 닦아낸 후 그늘에서 건조시켜야 한다. 빨리 말리기 위해 강한 햇빛에 두거나 열기구를 사용한다면 신발의 소재나 형태가 변형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신발의 먼지나 오물을 모두 제거한 후에는 발수제를 뿌려주는 것이 현명하다. 갑피 및 신발끈의 발수성 유지에 도움이 된다. 더불어, 등산화의 밑창은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바닥이 닳았다면 반드시 교체해야 한다.
봄철 야외 활동을 시작하기 전, 관련 용품들을 올바르게 관리하는 법을 숙지해야 깨끗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