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메르스 2차 검사 결과 |
(서울=포커스뉴스) 지난해 온 국민을 공포에 떨게 했던 중동호흡기중후군(메르스‧MERS) 환자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늘고 있어 서울시가 대응에 나섰다.
서울시는 메르스 환자의 국내 유입 가능성에 대한 경계를 늦출 수 없어 지난해 5월부터 운영하고 있는 메르스 방역 대책반을 지속 운영하는 등 메르스 대응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1월 1일부터 지난 16일까지 메르스 환자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65명, 오만에서 2명, 아랍에미레이트에서 2명 등이 발생했으며 지난달 이후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의 1개 의료기관에서는 3월에만 21명의 메르스 환자가 보고됐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메르스 환자의 국내 유입에 대비해 24시간 '메르스 핫라인'을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지난해 '메르스 사태'의 주요 원인이 '의료기관 내 전파'로 밝혀진데 따라 서울시는 의료기관 방문 전 '메르스 핫라인'에 신고해 줄 것을 강조했다.
서울시는 중동지역을 다녀온 후 14일 이내에 체온이 37.5℃ 이상으로 오르는 등 메르스 증상이 있을 경우 의료기관에 방문하지 말고 먼저 집에서 국번 없이 '109'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109'에서는 필요한 경우 거주지 보건소와 연결해 기초역학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서울시는 의료기관에도 발열 및 호흡기 증상 환자가 내원할 시 건강보험수진자 조회시스템, 의약품안심서비스 조회 시스템을 통해 중동지역 여행 여부를 확인해줄 것을 요청했다.
서울시는 의료기관에서 메르스로 의심되는 환자가 나올 경우 보건소에 신고해 줄 것도 당부했다.
서울시는 지난 1월 25일 이후 메르스 대책반을 강화해 시민건강국 생활보건과 1개팀 8명에서 3개팀 16명으로 확대 편성했다.
메르스 대책반은 유일에도 상황반을 가동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시는 중동지역 여행 중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사람이 붐비는 장소에 방문할 시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당부했다.
메르스 대책반은 15개 자치구 보건소와 보건환경연구원, 시립병원, 인천공항검역소와 연락체계를 유지하면서 메르스 의심환자 발생에 대응하고 있다.
김창보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메르스 재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서울시의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중동지역 여행 중 메르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여행 후 증상 발생시 바로 병원에 가지 말고 우선 109를 통해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2015.09.21 조종원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