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프라임사업 신청 이달 30일 마감
(서울=포커스뉴스) 중앙대학교의 '학과구조조정 합의' 발표에 중앙대 교수협의회(교수회)가 반발하고 나섰다.
중앙대 교수회는 25일 "인문대학 교수회의 70%가 프라임사업에 반대하고 있다"며 "프라임사업에 대한 합의는 아직 최종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프라임사업(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은 대규모 대학정원 조정사업으로 산업수요와 대학정원 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취업률을 높인다는 취지로 교육부가 도입했다.
그러나 이 사업의 취지상 산업인력과 연계되는 공과대학의 규모는 커지는 반면 인문대학, 예술대학, 사회대학 등 비교적 취업률이 낮은 학과가 통폐합·축소의 주요 대상이 되면서 '기초학문 죽이기'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지난 24일 중앙대가 보도자료를 통해 발표한 프라임사업 합의안도 같은 맥락의 내용을 담고 있다.
중앙대는 서울캠퍼스에 100여명 규모의 공학 분야 학과를 신설하고 안성캠퍼스에 예술과 공학을 융합한 300여명 규모의 단과대학을 개설할 계획이다.
이대로라면 공과대학(창의ICT공대 포함) 정원은 현재 870여명에서 1300여명 수준으로 대폭 확대된다.
이에 대해 교수회는 "인문대학과 서울캠퍼스 총학생회가 여전히 반대하고 있고 (합의했던) 예술대학 일부 학과도 다시 반대하고 있다"며 "중앙대 본부의 보도자료는 거짓"이라고 질타했다.
인문대학뿐만 아니라 프라임사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사회·경영·예술대학 등이 아직 프라임사업에 최종적인 합의를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외발표를 통해 합의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것이다.
백승욱 사회학과 교수는 "(인문대학 등에서 공과대학으로) 정원을 이동한다는 큰 틀에 동의를 한 것이지 최종적인 합의를 한 것은 아니다"라며 "학교 측이 구체적인 비전도 공개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대학별 프라임사업 신청은 오는 30일에 마감된다. 교육부는 프라임사업 계획서를 검토한 뒤 4월 말 19개 대학을 선정해 2018년까지 연간 2012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