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는 건강관리에 취약한 노숙인과 쪽방촌 주민들을 위한 의료지원을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위해 △의료비 지원 확대 △무료진료소 전문성 강화 △결핵검진 및 독감예방접종 확대 등을 중심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노숙인 의료시설은 76개소이며, 국·공립병원이 10개소, 일반병의원 1개소, 무료진료소 2개소, 보건소 27개소, 약국 36개소가 운영 중이다.
지원 예산도 증가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28억원보다 8억원이 증가한 36억원을 지원해 노숙인이나 쪽방주민 등이 지정 의료시설을 이용할 경우 건강보험자의 자기부담액과 수습의료급여자의 비보험 항목 전액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건강보험료 미납 등으로 무보험 상태에 놓인 노숙인 295명 중 100명을 올해 의료수급자로 전환시키고, 2018년까지 무보험자 전체를 의료수급자로 전환시킬 방침이다.
쪽방주민과 노숙인이 많은 지역의 무료진료소의 전문성도 강화한다.
서울시는 서울역, 영등포역 부근에 운영 중인 무료진료소 2개소에 정밀진단 초음파 기기를 설치하고 진료 중인 공중보건의사를 일반의사로 교체할 예정이다.
올해는 영등포진료소 일반의 1명을 내년에는 서울역진료소 2명을 일반의사로 교체할 계획이다.
결핵검진과 독감예방접종은 지난해보다 15%가량 확대한다.
서울시는 쪽방주민이 밀집된 5개 지역과 노숙인이 많은 서울역과 영등포역 2개소 등에서 결핵검진과 독감예방접종을 매년하고 있다.
올해는 결핵검진 3000여명, 독감예방접종 4000여명에게 의료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남원준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취약계층은 건강관리가 어려워 조기 진료와 예방은 물론 사후관리까지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취약계층을 위해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게티이미지/멀티비츠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