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증장애인 대상 야간 돌봄 서비스 도입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3-21 10:15:42
  • -
  • +
  • 인쇄
오후10시-오전6시 중증장애인 방문 '야간 순회 방문서비스'

응급안전장치 설치해 위급 상황 대응 '응급안전알림서비스'
△ wheelchair-1230101_960_720.jpg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증장애인들에 대한 안전관리·돌봄 서비스가 강화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거동이 어려운 중증장애인 100명을 대상으로 '야간 순회 방문서비스'를 함께할 수행기관을 다음달 4일까지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

서울시가 시행하는 야간 순회 방문서비스는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 사이에 움직임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을 2~3회 찾아가 △화장실 이용 등 개인위생관리 △체위변경 및 스트레칭 등 신체기능 유지증진 △약물복용 및 식사 지원 등 섭식기능 유지증진 △ 응급상황 체크 등 안전확인 활동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자치구별로 1개 기관씩 총 25개 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수행기관으로 선정되면 다음달부터 12월까지 야간 순회 방문서비스를 시범운영하게 되며 서울시로부터 한달에 한번씩 400~500만원의 인건비·운영비 등 사업비를 지원받게 된다.

서울시에 소재한 공공 비영리 기관이나 단체, 법인, 민간기관이라면 신청할 수 있다.

서울시는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등 유사한 서비스 경험이 있는 기관·단체를 우선 선정할 방침이다.

신청은 서울특별시 홈페이지(http://seoul.go.kr)에서 필요서류를 다운받아 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과로 방문 접수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과(02-2133-7473)로 문의하면 된다.

남원준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야간 순회방문 서비스는 중증장애인의 안전확보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 이라며 "중증장애인의 야간 안전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 이라고 말했다.

앞서 17일 서울시는 중증장애인 1480가구를 대상으로 '응급안전알림서비스'를 확대·시행한다고 밝혔다.

응급안전알림서비스는 중증장애인 가구에 응급안전장치를 설치해 위급상황 발생 시 지역센터와 소방서 출동 등의 대응조치를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지난해까지 마포·강서·종로·성동·도봉·노원·양천·영등포·강남·송파구 등 10개 자치구 780가구에서 응급안전알림서비스를 시행했다.

이를 확대해 강북·성북·서초·광진·동대문·용산구 등 6개 자치구의 중증장애인 100가구씩을 각각 추가해 1480개 가구로 확대할 방침이다.

응급안전알림서비스 대상자가 되면 가정 내 화재, 가스감지센서 등을 통해 응급안전정보를 지역센터와 소방서로 실시간 전송하는 장비가 가구에 설치된다.

응급안전알림서비스를 관리하는 지역센터는 응급관리요원이 배치돼 장비를 한달에 한번씩 장비를 점검하게 된다.

또 24시간 응급상황 정보를 모니티렁 하게 된다.

지원대상은 장애인활동지원 수급자로 혼자살거나 가족이 직장·학교 등을 다녀 상시보호가 필요한 중증장애인이다.

서울시는 활동지원 1등급인 독거·취약가구 수급자 및 야간 순회방문서비스 대상자를 우선 대상자로 선정하고 활동지원 2등급 이하 수급자에 대해서는 2순위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가정용 소화기 1만개를 지원해 '응급안전알림서비스' 대상자가 되지 못한 화재 취약가구에 공급할 방침이다.<사진출처=픽사베이><사진제공=서울시청>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