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스마트공장 도입 '붐'…"생산성 높이고 매출 늘려"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3-10 14:30:22
  • -
  • +
  • 인쇄
도입 효과 입소문 타면서 수요 크게 증가

중기중앙회 "정부 지원사업, 당초 계획보다 확대해야" 주문
△ 2016031000140701643_1

(서울=포커스뉴스) 선진국과 중국 기업들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중소제조업체들이 생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스마트공장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스마트공장이란 전통 제조업에 ICT(정보통신기술)를 결합해 원부자재와 생산공정, 유통·판매의 전과정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모든 생산데이터와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활용돼 최적화된 생산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는 지난해 산업부,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추진한 스마트공장 수요업체 발굴사업과 올해 2차례 개최한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설명회'에서 중소기업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말 중기중앙회는 업종별 협동조합을 통해 삼성전자에서 지원하는 2016년도 스마트공장 도입 희망업체를 접수한 바 있다. 그 결과 2주만에 197개 업체가 몰렸고, 관련사업의 전체 신청자가 1000개에 달해 지원대상 업체 모집이 조기 마감됐다.

또한, 올 들어 중기중앙회는 중소기업청과 공동으로 지난달 23일과 지난 7일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설명회'를 개최하면서 당초 참석 인원을 70~80명 내외로 예상했다가 실제 2배 이상이 몰리면서 좌석 추가 마련에 애를 먹었다.

특히, 정부에서 추진하는 올해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중 수도권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자금은 이미 소진돼 지방 중소기업에 한해서만 신청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난 7일 개최된 설명회에선 수도권 중소기업 참석자들이 올해 수도권에 대한 추가 지원사업 배정을 적극 요청하기도 했다.

이같이 스마트공장 사업이 중소기업들에게 인기를 끄는 이유는 당초 스마트공장 사업이 낮은 인지도로 중소기업 관심이 낮았으나, 최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도입 효과가 입소문을 타면서 수요가 크게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박문수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는 "중소기업들이 생산 현장의 디지털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에 1차적인 도움을 받는 것도 있지만, 궁극적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이 바이어들이나 거래업체들에게 신뢰도를 높여 매출 향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한다.

중기중앙회는 우수 스마트공장 현장방문을 통해 중소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중소제조업의 스마트공장 활성화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또한 정부예산과 지원자금 소진 상황에 따라 내년 중소기업의 수요발굴을 추진하면서 스마트공장에 대한 중소기업 인식제고를 위해 적극 홍보해나갈 방침이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최근 수출여건 악화와 주력 제조업의 장기불황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공장이 우리 중소제조업 도약의 불씨가 될 수 있다"며 "최근 중소기업들의 스마트공장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올해 당초 계획된 정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서울=포커스뉴스) 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6 오토메이션 월드 국제스마트공장, 자동화 전시회'에서 스카라로봇이 제품생산 과정을 시연하고 있다. 2016.03.09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