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협, '정의기억재단' 설립 모금운동 진행
![]() |
△ 제122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 |
(서울=포커스뉴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9일 열렸다.
이날 추운 날씨 탓에 고령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은 시위현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이날 낮 12시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 제1221차 정기 수요시위를 열고 위안부 피해자 당사자의 요구를 배제한 한국과 일본 양국 정부의 합의에 대해 '무효'를 주장했다.
이날 시위를 주관한 한국여성민우회의 김민문정 대표는 "첫 수요시위가 열린 1992년 1월 8일 이후 지난 27년 동안 1221주일에 걸쳐 우리는 일본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진상 규명과 공식 사죄, 법적 배상 등을 요구했다"며 "이는 모든 폭력사건에 있어 피해자의 존엄성을 회복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청"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끈질긴 요청에 한·일정부는 지난해 12월 28일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이라는 합의문으로 답했다"며 "이는 모욕이다. 진상규명도 없고 법적 책임도 모호한 합의문, 무엇보다 피해당사자의 목소리가 전혀 들어있지 않은 합의문은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정대협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이른바 '정의기억재단'을 설립하기 위해 설립추진위원회를 꾸리고 모금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김선실 정대협 공동대표는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행동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할머니들께 진정한 명예와 존엄을 안겨드릴 것"이라며 "일본 정부가 출연한 10억엔(약 107억원)을 거부하고 100만명이 1만원씩 내서 100억원을 만들어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오늘 날씨가 너무 추워 할머니들께서 건강염려로 현장에 동참하실 수 없었다"면서 "그러나 89세인 길원옥 할머니가 8일 미국으로 출국해 오는 19일까지 현지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 촉구를 위한 활동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정대협 수요시위에 앞서 전국교육대학생연합은 오전 11시 30분쯤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비 소녀상 앞에서 초등학교 6학년 사회교과서 내 '위안부' 표현 삭제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교과서 내용 편집에 대해 강하게 항의했다.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학생 등 참석자들이 '제122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하고 있다. 2016.03.09 조종원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