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철강 경기의존도 85%…중소형 철강업체 휴·폐업 이어져
![]() |
△ 사본_-10430835_900035006728622_5802115878121201187_n.jpg |
(서울=포커스뉴스) 창사 이래 첫 적자에, 끊임없이 제기되는 정치외풍으로 내홍을 겪고있는 포스코에 대한 개혁을 지역 시민단체가 팔을 걷어부쳐 주목된다.
포항경실련은 포스코의 경영방식에 이의를 제기하고, 정경유착을 막기 위해 지역사회 소상공인들을 중심으로 한 ‘포스코개혁위원회(가칭)’를 내주 중 발족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포항경실련은 “불합리하고 모순된 포스코의 경영 방식에 강한 이의를 제기한다”며 “두 번 다시 정치권력과 결탁해 포스코를 흔들어 지역의 소상공인들을 삶의 끝자락으로 내몰리지 않게 하기 위해 지역 상생 협의회를 발족한다”고 말했다.
포항은 포스코 창사 이래 약 50년간 포스코 및 계열사, 협력업체, 외주사 등 철강 관련 산업에 의해 성장해왔다. 포항시는 철강 부분의 경기 의존도가 85%가 될 정도로 포스코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그러나 포스코의 최근 어려워진 상황은 포항제철소와 관련된 업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소형 철강업체들은 인력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공장 가동률을 줄이고 있다.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포항철강공단 입주업체 277개사 가운데 16개사가 휴·폐업에 들어갔다
정휘 포항경실련 위원장은 “정준양 전 회장 시절에 정치권과 야합해 발생한 수많은 탈·불법적인 합병과 인수 등으로 빚어진 포스코와 계열사들의 부실수준은 심각함을 넘어 이제는 지역경제와 국가경제를 도탄의 지경으로 빠지게 만들었다”며 “이러한 부도덕하고 부실한 경영의 결과로 지역의 소상공인들은 이제 가족들의 삶 자체가 생존을 위한 투쟁으로 바뀔 지경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의 소상공인들은 함께 힘을 모아 거대 기업 포스코의 경영방식이 곧 자신들의 생존과 직결 된다는 것은 늦게나마 깨닫게 됐다”고 포스코개혁위원회의 설립 취지를 설명했다.
이들은 포스코의 주총이 열리는 이달 11일 전에 발족식을 갖고, 올 7~8월 안에 포스코의 개혁을 위해 의미 있는 성과를 낸다는 방침이다.<사진제공=포스코>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