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국내 공연시장 규모 7593억원…성장률 23.3%p 감소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2-25 14:10:13
  • -
  • +
  • 인쇄
문체부,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 결과 발표
△ 음악 인형극

(서울=포커스뉴스) 2014년 국내 공연시장 규모는 공연시설과 단체 매출액을 합한 금액으로 총 7593억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2012년(7130억원)에 비해 6.5% 증가했으나 성장률은 23.3%포인트 둔화된 수치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함께 진행한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2014년 기준)' 결과에 따르면 공연시설 매출액은 3689억원으로 전년 대비 10.9% 감소했다. 대학로와 대학로 외 민간 공연장 등의 매출액이 감소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됐다.

반면 공연단체 매출액은 2012년 대비 16.2% 늘어난 390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민간기획사의 매출 실적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공연시설과 공연장, 공연시설 종사자 수는 증가했다. 2014년 공연시설 수는 1034개, 공연장 수는 1280개로 전년 대비 각각 5.1%, 4.3% 늘었다. 공연시설 종사자 수는 1만2669명으로 전년 대비 7.9%가 증가했다. 공연단체 수는 2284개로 2012년 대비 8.3% 증가했고, 종사자 수는 5만5858명으로 9.9% 많아졌다.


전국 공연장에서 2014년 한 해 동안 진행된 공연 건수는 총 4만7489건, 공연 횟수는 20만228회로 전년 대비 각각 5.1%, 0.9% 증가했다. 공연단체 또한 총 4만5308건의 작품을 무대에 올리고 총 11만9968회를 공연하며 2012년 대비 각각 16%, 1.8% 실적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관람객 수는 3766만7737명으로 5.0% 감소했다. 이는 공연시설 및 단체 수, 공연 건수 및 횟수 등 양적 지표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2014년 상반기 세월호 참사, 브라질 월드컵 등 대내외적 이슈로 위축된 소비시장이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시장 위축은 민간 시설의 매출 부진으로 이어졌다. 공공 공연장의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약 1.5% 증가해 상대적으로 경기 영향에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민간 공연장은 티켓 판매 수입을 중심으로 총매출이 20.6% 감소했다.

공연단체 총매출액의 63.5%를 차지하고 있는 민간기획사는 국내 공연시장의 성장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극‧뮤지컬 장르 민간기획사의 매출액 성장이 21.7%로 가장 컸다. 이는 매출 규모 100억 원대 이상의 대형 기획사의 실적 개선이 주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2014년 기준)'는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공연작품의 창작(제작)을 담당하는 공연단체(2284개), 공연작품의 유통(매개)을 담당하는 공연시설(1034개) 및 공연행정기관(245개)을 대상으로 대인면접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공연시설 ±3.4%포인트, 공연단체 ±2.7%포인트다.(서울=포커스뉴스)서울 종로구 대학로길 유니플렉스에서 열린 상상 동화 음악 인형극 '해지는 아프리카' 프레스콜에 참석한 가수 하림이 하이라이트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김유근 기자 2007~2014년 공연시설 및 단체 매출액 추이 그래프.<자료제공=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