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국내산 사슴 광록병 발생…식품섭취 자제를"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2-24 16:21:51
  • -
  • +
  • 인쇄
국내 한의의료기관, 뉴질랜드 등 광록병 청정 국가산 녹용 사용
△ 발굴금지표지판.jpg

(서울=포커스뉴스) 경남에서 사슴 10여 마리가 광록병이 발생한 사실이 밝혀진 가운데 대한한의사협회가 국내산 사슴의 사슴뿔(녹용)을 섭취하는 것을 자제해 주길 권고했다.

또한 식약처에도 국내산 사슴뿔(녹용), 특히 건조하지 않은 생녹용의 식품 유통을 보다 엄격히 관리해줄 것을 요청했다.

24일 대한한의사협회에 따르면 경남에서 '사슴 광우병'으로 불리는 광록병이 발생해 사육중인 사슴 100여 마리가 매몰 처분됐다.

이달 4일 경남 진주시의 한 농장에서 사육하던 사슴 10마리가 광록병 양성판정을 받아 살처분된 후 예방 차원에서 23일까지 해당 사슴을 팔았던 인근 함양군의 농장 사육 사슴을 포함해 100여 마리를 잇따라 매몰 처분한 것이다.

광록병은 광우병과 마찬가지로 '변형 프리온 단백질'로 인해 발생하는 사슴 신경성 질환으로 국내에서는 2001년 광록병이 처음 보고 됐고 2010년 19마리를 끝으로 발병 사례가 없었으나 올해 다시 발생했다.

이에 대해 한의협은 “한국은 광록병으로부터 결코 안전한 나라가 아니며 국내산 사슴뿔(녹용)을 식품으로 복용할 시 주의가 필요하다”며 “이 때문에 한의원 등 한의의료기관에서는 뉴질랜드, 러시아 등 광록병 청정국가의 의약품용 녹용을 건조한 채로 수입해 각종 안전성 검사를 통과한 것만을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현재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은 국내산 사슴뿔(녹용)이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분”이라며 “특히 건조하지 않은 국내산 사슴뿔(생녹용)은 광록병 뿐 아니라 기생충 등 각종 감염의 위험성이 상존하므로 복용에 각별히 주의해야한다. 당분간 국내산 사슴뿔 특히 생녹용을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은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주의를 당부했다.함양군이 세운 발굴금지 표지판.<사진제공=함양군> 2016.02.24 노상봉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