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6-02-22_111613.jpg |
(서울=포커스뉴스) 한국산업용재협회 등 MRO(소모성자재구매대행) 관련 중소상공인단체들이 LG 서브원을 강력 규탄하고 나섰다. 합리적인 사유도 없이 상생협약 체결을 거부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소상공인연합회는 MRO 관련단체인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한국베어링판매협회 등의 회원 중소기업 대표와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대기업 MRO사(LG 서브원)의 시장침탈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중소 MRO 단체 대표들은 이 자리에서 "LG 서브원이 MRO 상생협력을 거부하고 있다"며 다른 대기업 MRO사와 같이 조속한 시일 내에 상생협약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MRO 사업이란 사무용품과 공구, 전산용품 등 기업활동에 필요한 소모성 간접자재를 수요기업에 공급하는 사업으로, 지난 2011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합리적인 시장분담을 위해 가이드라인이 제정된 바 있다.
하지만 2014년 적용기간 만료에 따라 재지정을 협의하고 있는 과정에서 동반성장위원회가 지난해 12월 기존의 가이드라인을 상생협약으로 전환키로 심의를 완료함에 따라 SK(행복나래), 엔투비(포스코), KT커머스(KT)는 올해 1월 중소기업 단체들과 상생협약을 체결한 상태다.
다만, 업계 1위 기업인 LG 서브원은 매출액(3000억원) 구분에 대한 근거가 없고, 수요기업의 선택권 침해문제를 제기하며 상생협약 체결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MRO 관련 중소상공인들은 "대·중소기업간 협력과 동반성장의 정신을 바탕으로 공정한 시장질서를 구축한다는 상생협약서를 LG서브원이 합리적 사유도 없이 거부하는 것은 2011년 가이드라인 제정 합의 이전의 불공정한 시장상황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라며 "무차별적인 영업을 통해 중소상공업계의 생존을 무시한 채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선언이다"고 꼬집었다.
이어 "LG 서브원과 같은 대기업이 협약체결을 거부한다면 전 중소상공업계의 의지를 담아 강력히 규탄하고, 불매운동을 포함하는 강력한 대응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