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및 중국, 남미로 사업 구상 중
“정수기와 냉장고 사업 통합해 시너지 창출할 것”
(서울=포커스뉴스) LG전자가 지난해 '깨끗한 공기와 물'을 지향하며 출시한 '퓨리케어(PuriCare)' 브랜드를 정수기에 확대 적용했다. 기존 제품군인 공기청정기와 가습기에 이어 정수기를 추가함으로써 퓨리케어 브랜드를 적극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17일 오전 11시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LG트윈타워에서 조성진 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H&A)사업본부장(사장)과 최상규 한국영업본부장(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퓨리케어(PuriCare) 정수기를 선보였다.
LG전자는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주요 국가 중심으로 퓨리케어 정수기의 해외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정수기의 핵심부품인 주요 필터를 자체 개발‧생산하기로 했다.
박영일 부사장은 "정수기 (단일 제품으로)만 사업하는 게 아니라 얼음정수기냉장고 등도 같이 하고 있다"며 "미국, 일본 등 선진시장은 냉장고로, 인도와 동남아 등 주요 아시아국가는 대형냉장고가 일반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수기로만 시도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퓨리케어정수기의 가격이 100달러 이상의 고가로 예상되는 가운데, 신흥 시장에서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이에 LG전자는 '상위 5%'를 목표로 삼겠다고 설명했다. 박 부사장은 "작년 인도에서만 2만대 판매했다”며 “올해는 7만대를 팔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조성진 사장은 인도는 물의 질이 좋지 않은 점이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봤다. 그는 "우리 브랜드 인지도가 좋은 상황에서 빨리 확산시킬 것"이라며 "좋은 브랜드로 정수기 만들고 궁극적으로 현지 생산으로 확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LG전자의 정수기 제품은 인도를 시작으로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 진출한 상태다. 궁극적으로는 중국과 중남미에도 진출할 계획을 갖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여전히 렌트와 관리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유지할 계획이다. 최상규 사장은 "고객들을 실제로 만나보면 정수기에 대해 전문적 관리를 원한다"며 "매니저를 1300명 수준으로 유지해, 서비스와 케어를 주축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LG전자는 올해 출시하는 냉장고 전 제품과 프리미엄 정수기에 인버터 컴프레서를 적용할 계획이다. LG전자는 2014년 정수기와 냉장고 사업을 통합해 제품간 시너지를 내고 있다. 지난해 3월에는 국내 최초로 정수기에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했고,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정수기 업계 최초로 인버터 컴프레서 10년 무상보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조성진 사장은 "주방은 가족들의 건강과 휴식을 위한 중요한 공간"이라며 "가족 구성원들의 다양한 니즈 연구와 주방가전 사업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주방가전 제품군을 앞세워 새로운 주방 문화를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조성진 LG전자 H&A사업본부장(사장)이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LG트윈타워에서 열린 'LG 퓨리케어 정수기, 디오스 얼음정수기냉장고 신제품 발표회'에 참석해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