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목 축이는 통일부 장관 |
(서울=포커스뉴스) 통일부는 홍용표 통일부 장관의 15일 국회 발언을 취소하는 '보도 해명자료'가 청와대 작품이라는 언론보도에 대해 "전혀 사실무근"이라면서 "이런 식의 보도가 나가는 것에 대해 상당히 유감"이라고 17일 반박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15일 밤의 해명자료는 통일부가 작성한 것이지 누가 시켜서 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지난 15일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위원장 나경원) 전체회의에 출석해 "개성공단 임금이 핵과 미사일 개발에 유입된 구체적인 증거가 있는 것처럼 와전됐다"면서 사과했다.
그러나 통일부는 몇 시간 뒤인 오후 8시10분 쯤 "일부 언론에서 홍용표 통일부장관이 말을 번복했다거나, 개성공단 자금 유입의 증거가 없다고 보도한 것은 장관의 발언 취지와 다르다"는 것을 골자로 하는 '보도 해명자료'를 긴급히 배포했다.
이에 대해 한겨레신문은 17일 '통일부 장관 발언 취소 자료는 청와대 작품'이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청와대가 이 해명자료 작성에 개입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에 따르면 정부 소식통은 "개성공단 전면 중단 결정을 주도한 청와대가 해명자료 작성 역시 주도했다"고 말했다. 통일부 당국자 또한 "이 해명자료는 통일부가 청와대와 조율해 작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정준희 대변인은 "전혀 사실무근이고, 이런 식의 보도가 나가는 것에 대해서 상당히 유감"이라고 일축했다.
정 대변인은 이날 "누차 밝혀온 바대로 '개성공단 임금이 북한 당 지도부로 들어간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정부가 최근 북한의 해외식당 출입자재 권고를 내린 것에 대해 정준희 대변인은 "식당 출입은 교류협력법상 사전 접촉신고 대상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만, 매우 엄중한 현 상황에서 북한으로 자금이 들어가는 여타한 행위도 자제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 들어서 거의 20여건 가까운 남북 민간교류 접촉신청이 보류됐다는 보도에 대해 정 대변인은 "보류를 한 것은 아니다. 그것은 잘못된 표현"이라면서 "민간교류와 관련된 문의가 들어온 것을 보류라는 표현으로 나간 것 같다"면서 바로 잡았다.
이어 정 대변인은 "인도적 지원과 관련돼서도 정부는 기본적으로 북한 주민의 삶의 향상을 위한 특히 영유아나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해야 한다는 기본방침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그러나 현재 북한의 도발이 계속 악순환되는 이런 엄중한 상황에서는 인도적 교류도 잠정적으로 중단이 불가피하다"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인도적 지원이 북한에서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인지에 대해 정 대변인은 "직답은 드리지 않겠다. 아무튼 북한의 도발이 엄중한 상황에서는 이런 문제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고 말씀드린다"면서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서울=포커스뉴스)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개성공단 가동 전면중단 관련 현안보고를 위해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물을 마시고 있다. 2016.02.15 박동욱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