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한국과 중국 교역에서 항공운송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가 발표한 '한·중 간 항공운송 수출입 동향 및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우리의 대중 수출·수입에서 항공운송이 차지하는 비중(금액 기준)은 각각 34.9%, 29.8%로 전체 교역액의 3분의 1(32.8%)을 차지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수출입에서 항공운송이 차지하는 비중 (26.5%)에 비해 각각 8.4%포인트, 3.3%포인트 높은 수치다. 최근 항공운송 수출비중도 가파른 성장세(2011년 22.8% → 2015년 34.9%)를 기록했다.
양국 간 항공운송의 비중이 높은 것은 주요 교역품목인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고부가 정보기술(IT)제품의 수출입이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고, 신속한 배송에 대한 수요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중 항공운송 수출의 3대 품목인 반도체·무선통신기기·컴퓨터는 전체 대중 항공수출의 73.2%를 점유하는데, 이들 제품은 시장 변화가 빠르고 무게와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 항공운송에 적합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무역협회는 한중간 항공운송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정부의 항공물류 인프라 확대,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CBT) 활성화, 한중FTA 발효, 정보기술협정(ITA) 타결 등으로 항공운송 여건이 개선되고 수요도 더욱 늘고 있기 때문이다.
최용민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장은 "중국의 항공물류시장 확대에 따라 상품수출 뿐만 아니라 이와 연계한 물류 서비스 진출방안도 다양하게 검토해 중국의 광활한 물류시장을 서둘러 공략해야 한다"고 말했다.<자료제공=한국무역협회>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