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답변하는 통일부 장관 |
(서울=포커스뉴스) 통일부는 15일 "일부 언론에서 홍용표 통일부장관이 말을 번복했다거나, 개성공단 자금 유입의 증거가 없다고 보도한 것은 장관의 발언 취지와 다르다"고 반박했다.
통일부는 이날 오후 보도 해명자료를 통해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에 대한 임금과 기타비용의 70%가 당 서기실 및 39호실에 상납되고, 그 돈이 핵·미사일 개발이나 치적사업 또는 사치품 구입 등에 사용된다는 점은 아무런 변함이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위원장 나경원) 전체회의에 출석해 "개성공단 임금이 핵과 미사일 개발에 유입된 증거가 있는 것처럼 와전됐다"면서 사과했다.
회의 직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은 일제히 홍 장관을 비판하며 책임을 따져 묻는 논평을 내고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이에 통일부는 "외통위에서 통일부장관의 발언은 당에 들어간 70%에 해당하는 자금이 핵·미사일 개발이나 치적사업 또는 사치품 구입 등 여러 용도에 사용되므로, 그 중 핵·미사일 개발에 얼마나 사용되는지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이어 "일부 언론에서 통일부장관이 말을 번복했다거나, 개성공단 자금 유입의 증거가 없다고 보도한 것은 장관의 발언 취지와 다르다"면서 "아울러, 통일부장관이 외통위에서 송구하다고 언급한 것은 이러한 취지의 내용을 적기에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데 대해 이해를 구한 것"이라고 강조했다.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개성공단 가동 전면중단 관련 현안보고를 위해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6.02.15 박동욱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