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
(서울=포커스뉴스)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15일 "능력과 성과에 기초한 공정한 임금체계를 구축하면 해고의 필요성은 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근로계약은 노동조합이 추진하는 획일적 틀을 벗어나 근로자 개인 선택권을 넓히는 방향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회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노동시장 선진화'에 대해 강조했다.
박 회장은 "국내는 아직도 300인 이상 기업의 80%가 능력·성과와 무관하게 재직기간에 따라 임금이 자동적으로 올라가는 연공급형 호봉제 임금체계를 갖고 있다"며 "그 결과 1년차 젊은이와 30년차 근로자의 임금차이가 무려 3.1배에 이른다"고 말했다.
그는 선진국처럼 정년도 사실상 없앨 수 있으니, 임금피크제도 여기에 자연스레 녹아들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회장은 장시간 근로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연장근로 할증률을 국제노동기구(ILO) 권고 수준인 25%로 낮추고 미사용 연차휴가에 대해 금전보상을 금지하는 등 장시간 근로를 조장하는 제도부터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다양한 조건의 일자리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기업 정규직 노조의 기득권 양보는 사실상 포기했다.
박 회장은 "노조의 양보가 현실적으로 힘들다"며 "기존 노조와 기득권을 건드리지 않는 방법으로 노동 개혁을 실천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노동개혁 법안에 대해 그는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은데 그것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며 "국회나 정부가 어떠한 조치를 취할 때 까지 마냥 기다릴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서울=포커스뉴스)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취재진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허란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