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日 NHK, 북한 미사일 발사 장면 포착 |
(서울=포커스뉴스) 북한이 7일 오전 장거리 미사일(로켓) 발사를 강행한 가운데 우리 군은 성공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
국방부는 이날 “오전 9시 30분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장거리 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면서 “발사 직후인 9시 31분 우리 해군의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이 북한 미사일 발사를 탐지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미사일은 9시 36분쯤 덮개(페어링)이 분리되고 우리 군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이 미사일의 낙하물 3개는 북한 서쪽 약 150㎞ 지점 공해, 한반도 남서쪽 약 250㎞ 지점 동중국해 해상, 일본 남쪽 약 2000㎞ 지점 태평양에 각각 떨어졌다.
현재 국방부는 이번 미사일 발사의 성공 여부를 파악하고 있으며, 한미 연합 감시자산을 총 동원해 북한군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있다.
이날 오후 한민구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한미 군 수뇌부는 북한 미사일 대응책을 논의할 계획이다.
북한은 지난 2일 국제해사기구(IMO) 등에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예정기간을 8~25일로 통보했다 6일 발사기간을 7~14일로 수정 통보했다.
이번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도발에 대해 우리 정부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고 "유엔 안보리 결의를 포함해 실효적이고 강력한 제재를 도출하겠다"고 천명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면서 모두발언을 통해 "이번 장거리 미사일 발사는 북한 핵실험에 따른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가 논의되는 시점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평화를 소망하는 국제사회에 대한 도전행위"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조태용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 겸 NSC 사무처장은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 성명'을 통해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해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서울=포커스뉴스) 일본 NHK 방송은 북한이 7일 오전 9시 31분 장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보도했다. (화면캡쳐=NHK) 2016.02.07 김윤정 기자 (서울=포커스뉴스)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로켓)을 발사한 7일 오전 한민구(가운데) 국방부 장관이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이날 북한이 발사한 장거리 미사일(로켓) 관련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사령관, 마크 리퍼트 주한 미 대사와 긴급 대책회의를 진행했다. 2016.02.07 오장환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