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은 일본롯데 계열사들, 한국롯데 지배력 약화시키는 의미 커"
(서울=포커스뉴스) 공정거래위원회가 1일 롯데그룹의 해외계열사 소유현황 등 지배구조를 공개하고, 허위 또는 미제출 혐의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롯데는 이에 대해 “공정위의 해외계열사 조사에 성실히 임했으며, 앞으로도 추가자료 제출 등 조사에 최대한 협조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롯데는 “기업의 소유·지배구조의 투명성 제고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8월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TF팀을 발족하고 호텔롯데 IPO, 순환출자 해소, 지주회사 전환, 경영투명성 제고 등 중점추진과제를 수행 중이다”라고 밝혔다.
또 “롯데의 지배구조는 일본에서 사업에 성공한 신격호 총괄회장이 일본 회사의 수익금을 조국에 투자하면서 한국 롯데를 설립하게 된 역사적인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다”라며 “호텔롯데와 롯데쇼핑, 롯데칠성, 롯데제과 등 롯데그룹의 주요 계열사들은 모두 한국법에 따라 설립된 한국 회사들이고 한국에 세금을 납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동안 일본롯데 계열사 등에 대한 자료 제출이 일부 미진했던 부분은 한일롯데 경영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고의성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롯데는 “현재 호텔롯데의 상반기 내 상장을 목표로 IPO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1월28일 한국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며 “호텔롯데 상장은 경영투명성 확보 차원뿐 아니라 일본롯데 계열사들의 한국롯데 지배력을 약화시키는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롯데정보통신, 코리아세븐 등 주요 계열사의 상장도 계획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일본롯데 상장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롯데는 9만5000여개에 달하던 순환출자 고리를 2014년 7월, 지난해 8월과 10월에 계열사 간 지분거래, 신동빈 회장의 사재출연을 통한 주식매입 등으로 단절시켰다. 지난해 12월말 현재 67개 순환출자를 남겨두고 있다.
롯데 관계자는 “앞으로도 내외부 전문가와 함께 순환출자 고리 완전 해소와 지주회사 전환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해 경영 투명성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