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위안부 피해자들의 아픔에 깊이 공감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이 달성되도록 열심히 매진할 것이다"
29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서암홀 건물에서 일본군 '위안부' 연구회 창립총회 및 심포지움이 개최됐다.
이들은 "제국주의 국가 일본에 의해 강압적으로 끌려가 성노예라는 고난을 강요당했고 심각한 인권침해로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피해자들의 아픔에 깊이 공감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무엇인지 다각적인 학문적 논의가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증언을 포함한 역사적 사실들을 확인하고 정리할 것"이라며 "각종 쟁점들을 분석하고 왜곡 주장들을 비판·검토하는 학문적 작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연구회 설립 취지를 밝혔다.
이들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은 보편적 여성인권을 추구하는 동시에 한일 과거청산을 통한 아시아와 세계의 평화를 추구하는 여정임을 명확하게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활동해 온 전 세계의 연구자 활동가들과 연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이 달성되는 그날까지 열심히 매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설립총회에서 김창록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연구회 회장으로 선출됐다.
설립총회 이후 △이나영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의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기원과 역사 △이신철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교수의 2015 한일 외교장관 합의의 역사학적 검토 △김창록 교수의 법적 관점에서 본 2015 한일 외교장관 합의의 문제점 등으로 구성된 심포지움이 열린다.
심포지움 이후 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박사와 김재영 독립영화 감독이 '12월 28일 이후 한국사회의 풍경'이라는 주제로 특별프레젠테이션을 한다.
이어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종합토론 시간이 마련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28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상이 타결됐다.
한·일 양국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통감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사죄·반성 표명 △한국 정부가 위안부 지원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은 정부 예산으로 10억엔(약 96억7500만원) 출연 등 3대 합의를 이뤘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지난달 28일 오후 2시 서울 세종로 외교부청사 17층 회의실에서 회담을 시작해 70분쯤 담판으로 이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그러나 당사자인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은 "피해자는 우리"라며 "정부가 나서 한 합의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부정적 뜻을 밝힌 바 있다.<사진제공=일본군 '위안부' 연구회>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