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중국이 세계경제의 향방을 좌우하는 단계에 이르렀다"며 "국내 및 세계의 영향을 감안해 중국 경제의 상황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27일 오전 서울 남대문 한국은행 본관 15층에서 열린 올해 첫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이주열 총재는 세계 경제에서 중국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 총재는 "연초들어 국제금융시장이 큰 변동을 보이고 있다. 주가가 큰 폭 하락하고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등 불안한 움직임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유가의 추가 하락, 미국 통화정책방향의 불확실성 등 여러 요인이 함께 작용했지만 중국 경제의 불안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중국이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시장인데다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 이를 주목할 필요성이 한층 높아졌다"며 "중국이 세계 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가까이에 이르고 지난 10년간 세계 경제성장에 대한 중국 기여율이 3분의1(35%)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주열 총재는 "같은 기간 미국 경제의 성장기여율은 15분의 1(6%)수준이다. 과거엔 미국이 세계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미 경제 부진이 글로벌 경기 침체로 연결됐지만 이제는 중국 경제의 움직임이 세계 경제 향방을 좌우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중국 경제의 중요성이 커진 만큼 상황 추이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20일 개막한 '다보스 포럼'을 거론하며 "당시 중국 경제 향방에 대해 낙관과 우려가 동시에 표출됐다"며 "중국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불안심리가 매우 크다. 상황 추이를 면밀히 살펴보고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는 강민수 현대경제연구원장,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 이종화 고려대학교 교수, 조준모 성균관대학교 교수, 최범수 KCB대표가 참석했으며 서영경 부총재보와 장정석 계량모형분석부장이 배석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