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동국대학교는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강용묵 교수 연구팀이 리튬이차전지 고전압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동국대에 따르면 해당 연구팀은 김용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 최시영 재료연구소 박사 등과 공동연구를 통해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리튬코발트산화물(LiCoO2) 충전전압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높은 출력과 에너지 밀도를 지닌 전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걸림돌로 작용하던 층상구조 양극 소재의 퇴화원인을 제거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충전 중 발생하는 구조 붕괴와 전해질 분해 반응으로 양극 소재 표면에 형성된 성분 중 산을 유발하는 물질이 있다는 것을 알아내 이를 해결했다.
강 교수는 “리튬이온이차전지의 최종 목표가 전기자동차(EV)나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적용하는 것임을 고려했을 때 양극 소재의 고전압화 기술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며 “이번 연구는 해당 소재의 사용영역 확대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연구재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사업’ 등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21일 에너지 환경분야 최고권위인 ‘Advanced Energy Materials’ 인터넷판에 게재되기도 했다.강용묵 동국대학교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교수. <사진제공=동국대학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