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lg유플러스.jpg |
(서울=포커스뉴스) LG유플러스의 홈 IoT 서비스(IoT@home) 가입자가 19일 10만 가구를 넘어섰다. 이는 일 평균 500가구 이상이 꾸준히 가입한 것으로 지난 7월 서비스를 선보인 지 6개월 만이다.
특히 가입자 기준이 아닌 가구수 개념으로 환산하면 실제 홈 IoT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인구는 두 배 이상 크게 늘어난다. 앱 마켓에서 'IoT@home'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해 가족 구성원 모두가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LG유플러스는 이에 대해 " IoT@home 서비스는 통신사에 관계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서 '불꺼', '가스 잠궈', '문열어' 등의 다양한 음성명령이 가능해 실생활에서 편리하다"며 "전국 설치 서비스는 물론 AS까지 한꺼번에 지원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도 경쟁력"이라고 설명했다.
연령대 별로 보면 30·40대 가입자가 전체의 60%를 차지해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30대 남성이 전체의 17%를 넘어 가장 높은 가입률을 나타냈고, 40대 남성과 여성이 각각 16%, 15%를 차지해 그 뒤를 이었다. 30대 여성도 12%를 차지했다.
또 20대와 50대도 1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70대 이상도 1,100가구가 가입한 것으로 나타나 IoT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성별·나이에 상관없이 넓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55 : 45로 남성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서울, 인천, 부산, 경남, 충남, 경북, 울산 순으로 가입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특별자치도에도 600여 가구가 IoT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인기 있는 IoT 서비스는 IoT플러그로 전체 가입자의 50%가 선택해 가장 인기 있는 서비스로 나타났다. IoT 플러그는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품으로 집안에 설치된 플러그에 연결된 가전의 온·오프(on·off) 도 가능하다. 특히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예를 들어 퇴근 후 집에 도착하기 5분 전이나 아침 기상 알람에 맞춰 설정해 놓으면, 직접 제어하지 않아도 원하는 시간에 커피를 내리거나 음악이 흘러나오게 하는 등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창문이나 문이 개폐되면 알려주는 '열림감지센서'도 전체의 46%가 선택하며 고객이 선호하는 서비스로 나타났다. 열림감지 센서는 창문이나 현관문, 서랍 등에 간단히 설치해 외부의 침입확인이나 물건 도난, 가족의 귀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IoT 서비스다.
LG유플러스는 국내 10만 가구 돌파에 따라 2016년을 홈 IoT 대중화의 원년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먼저 LG유플러스는 상반기 중 총 30여종 이상을 서비스 라인업을 구축한다. 올 하반기에는 지능형 IoT 서비스를 본격 도입한다. 지능형 IoT 서비스는 날씨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고 외부 온도 및 미세먼지 농도 등을 고려해, 에어컨이나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한 기능이다.
안성준 LG유플러스 IoT서비스부문 전무는 "홈 IoT 서비스는 되느냐 안되느냐의 문제가 아닌, 얼마나 빨리 대중화가 되는지가 관건"이라며 "LG유플러스의 10만 가구 돌파는 더욱 수준 높은 고객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로 거듭날 발판을 마련한 것"이라고 밝혔다.LG유플러스 CI <사진제공=LG유플러스> 2016.01.15 지봉철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