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비례대표도 상향식 공천…계파정치 소멸될 것"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1-18 10:38:33
  • -
  • +
  • 인쇄
신년기자회견 "4대 개혁 완수 위해 선진화법 개정안 직권상정 돼야"
△ 미소짓는 김무성

(서울=포커스뉴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18일 "비례대표까지 100% 상향식 공천제도가 확립됐다"며 "이는 우리 정치사의 혁명"이라고 자평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앞으로 공천 과정에 소수권력자와 계파의 영향력이 전혀 미치지 못할 것이며, 그 결과 우리나라 정치의 후진성을 드러내는 계파정치는 없어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 "비례대표까지 100% 상향식 공천, 우리 정치사 혁명"

김무성 대표는 새누리당의 20대 총선 공천룰과 관련해 "새누리당은 총선에 대비해 이미 정치개혁을 이뤄냈다"며 "100% 상향식 공천제 확립은 정치개혁의 완결판이자 우리 정치사의 혁명"이라고 자평했다.

이어 "앞으로 공천 과정에 '소수권력자와 계파의 영향력'이 전혀 미치지 못할 것이며, 그 결과 우리나라 정치의 후진성을 드러내는 계파정치는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한 비례대표 공천과 관련해서도 상향식 공천제가 적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새누리당은 비례대표도 당헌·당규에 따라 상향식 공천제를 적용하게 될 것"이라며 "공모와 심사 후 국민공천 배심원단 평가를 통해 공정하고 투명하게 선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어제(17일)까지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총 986명의 예비후보 가운데 새누리당 소속이 584명으로 거의 60%를 차지한다"며 "지역민과 소통하며 생각과 경험을 나눈 유능한 후보들이 상향식 공천제를 통해 정치권에 대거 수혈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낙관했다.

또한 김 대표는 "새누리의 인재상은 경제와 민생을 살릴 수 있는 인물, 국정 이해와 국정 운영 실력을 갖춘 인물, 지역발전에 헌신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인재 영입에 열을 올리고 있는 야권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김 대표는 "야당은 과거 방식의 공천제도를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야당내 소수권력자가 공천을 좌지우지한다는 얘기"라고 했다.

이어 "야당은 인재영입이라는 이름의 전략공천으로 선정한 뿌리 없는 꽃꽂이 후보이며, 여당은 상향식 공천으로 지역에서 출발하는 생명력 있는 풀뿌리 후보라는 점을 국민 여러분께 말씀 드린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대표는 현재 가장 시급한 문제인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에 대해 253석을 먼저 확정하고, 비례대표는 논의를 계속하고자 제안했다.

김 대표는 야당을 향해 "여야가 잠정 합의한 대로 253개 지역구부터 우선 확정하고, 여야간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는 비례대표 문제는 계속 논의하자"며 "종전의 246개 선거구 안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그런 만큼 선거구 없는 입법마비 상태를 막고 예비후보들이 제대로 활동할 수 있도록 253개 지역구부터 우선 확정하고 여야간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는 비례대표 문제는 계속 논의하자"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또 분열하고 있는 야권을 향해 "총선에 나서는 정당은 주요 현안에 대한 명확한 입장 발표로 국민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며 "단순한 이미지쇼로 국민을 현혹시켜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기업활력제고법 △노동개혁 5법 등을 국회의 주요 현안이라고 강조하며 "야권이 분열에 분열을 거듭하고 있는데, 각 정당별로 정책과 비전의 차이를 명확히 제시해서 국민들의 냉정한 심판을 받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 "현 상황은 위험과 불안의 시대"…유일한 해법은 '4대 개혁'

김 대표는 이날 가장 먼저 현 상황을 '위험과 불안의 시대'로 진단하고, 국민들의 관심과 요구 사항을 9가지로 요약했다. 그러면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유일한 해법이 4대 개혁이라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많은 국민들이 지금 이 시대를 '위험과 불안의 시대'로 인식한다"며 "마음의 안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전문가들의 분석에 의하면 국민들의 관심과 요구 사항은 크게 9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며 △일자리 부족과 고용 안정성에 대한 불안 △주택비용 상승에 따른 주거 불안 △교육비 증가에 따른 교육 불만 △고령화에 따른 노인들의 노후 불안 △초저출산에 따른 국가 미래에 대한 우려 △생활 속 안전에 대한 걱정 △정부·공기업의 관료 행정에 대한 불만 △북핵에 따른 안보 불안 △무엇보다도 후진적인 정치에 대한 불만 등을 꼽았다.

김 대표는 "안보 측면에서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한반도와 동북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고, 안보 불확실성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우리 경제와 사회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며 "국내 경제에도 빨간 불이 들어와 있다"고 현 상황을 분석했다.

김 대표는 "경제가 위축되면서 일자리가 줄고 가계의 소득 창출이 어렵다 보니, 삶이 팍팍해지고 '좌절과 분노의 어두운 분위기'가 온 사회에 퍼져 있다"며 "사회 각 분야에서 불만의 목소리를 키우다 보니 갈등과 분열이 증폭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결론적으로 한국은 사람에 비유하면 성인이 되기 직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겉늙은 사춘기 소년'"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노동·공공·금융·교육 등 4대 부문에서의 개혁이 필수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4대 개혁은 대한민국이 새롭게 도약하기 위한 국가 재설계 작업이며, 각종 비효율과 낭비를 제거하는 한국경제의 재건축 작업"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하지만 야당은 기득권을 지닌 귀족노조, 정부에 반대만 하는 운동권 세력과 연합해 아무런 대안 없이 개혁 작업에 반대로 일관하고 있다"며 "지금이 경제 위기냐 아니냐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우리 경제가 설마 무너지기야 하겠느냐 하는 안일한 생각이 가장 위험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 "정의화 의장, '4대 개혁' 완수위해 선진화법 개정안 직권상정해야"

김 대표는 앞서 언급한 4대 개혁 완수를 위해 정의화 국회의장을 향해 "국회선진화법 개정안의 직권상정을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경제활성화법과 노동개혁 5개 법안 등의 처리가 차질을 빚자 정 의장에게 직권상정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정 의장은 현 상황을 '국가 비상사태'로 볼 수 없다며 직권상정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에 새누리당은 지난 11일 권성동 의원의 대표발의로 국회의장의 직권상정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의 국회선진화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김 대표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개혁의 완수를 위해 국회선진화법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며 "국회선진화법은 야당결재법이자 소수독재법으로, 국회를 식물국회로 전락시킨 악법 중의 악법"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국회선진화법이 '국가시스템의 블랙홀'로 작용하면서 대한민국은 거북이 걸음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국민들은 지금 일하는 국회, 생산적인 국회를 요구하고 있는데, 국회선진화법이 국가위기를 초래하는 주범이 돼 국민의 지탄을 받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16.01.18 박철중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