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4주년 맞은 정기수요집회 |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정당 등으로 구성된 단체들은 13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한일합의 원천무효를 주장하는 시국선언을 내놨다.
이들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서울 종로구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를 통해 '강제동원'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교묘하게 축소시켰다"는 내용의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시국선언문에는 민주노총서울본부‧정의당서울시당‧사회진보연대‧덕성여대총학생회‧구로여성회‧민주노점상연합‧범민련서울연합‧서울청년네트워크‧언론노조인쇄지부‧전국공무원노동조합 등 170여개 단체들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시국선언문을 통해 “정부는 이번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를 통해 ‘강제동원’이라는 역사적 진실을 교묘하게 축소시켰다”며 “국가배상과는 거리가 먼 피해자 지원 재단 설립이라는 방식으로 일본의 국가차원의 책임을 피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의견은 무시한 채 ‘최종적’, ‘불가역적’을 운운하며 피해자들의 문제제기 조차 차단했다”며 “명예와 권리를 위해 싸우는 위안부 문제 피해자들의 입까지 틀어막는 것이 정부의 역할인가”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이번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일합의 이면에는 “동북아 평화에 위협이 되는 일본의 재무장과 한미일군사공조가 놓여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일본 재무장과 한미일군사동맹에 대한 반대여론을 약화시키기 위해 한일 양국의 역사적 갈등을 서둘러 봉합하다보니 이 같은 엉터리 합의가 나오게 된 것”이라며 “동북아의 평화를 위해서라도 전쟁범죄에 대한 진상규명과 법적 책임 등이 절실하다”고 꼬집었다.
향후 현재 대학생들로 구성된 소녀상 지키기 활동에 함께하겠다는 다짐도 밝혔다.
이들은 “서울시민들로 구성된 ‘소녀상 지키미’를 조직해 함께 할 것”이라며 “정대협이 진행하는 서명운동 및 기금모금 활동에 함께해 굴욕적인 10억엔을 거부할 수 있는 활동에 함께할 것”이라고 뜻을 전했다.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집회가 제1212차로 24주년을 맞은 지난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구 일본대사관 앞에 소녀상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2016.01.06 김인철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