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검찰청 |
(서울=포커스뉴스) 특별수사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이 활동을 시작했다.
특수단은 13일 “단장과 팀장 2명, 부부장 2명, 수사관 10여명이 출근해 업무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당초 법무부는 새로 출범하는 특수단 인사를 비롯해 560명의 검찰 중간간부 인사를 이날 단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특수단은 김수남 검찰총장 취임 후 줄곧 거론돼 온 조직으로 사실상 중수부의 역할을 대체하게 된다.
그동안 중수부 폐지 이후 생긴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다양한 부패 비리 사건을 전담할 조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곳곳에서 제기됐기 때문이다.
검찰 주변에선 특수단의 첫 수사 타깃은 공적자금이 투입된 부실기업이나 공공기관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최근 각종 국책사업과 공공기관 운영 등 공공시스템에 대한 ‘부패방지 4대 백신프로젝트’ 가동 방침을 세웠기 때문이다.
이번 특수단을 이끌 수장은 김기동 전 대전고검 차장이 맡게 됐다.
김 단장은 앞서 방위사업비리 합동수사단을 이끌며 그 능력을 입증 받았다는 평을 받았다.
이 때문에 그는 합수단 활동이 마무리 시점으로 들어서면서 줄곧 신설되는 부패전담수사팀의 수장으로 거론돼왔다.
1팀장과 2팀장에는 각각 부산고검 소속으로 성완종 수사팀에 파견된 주영환(46·27기) 부장검사와 한동훈(43·27기)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장이 내정됐다.
법무부 관계자는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은 국민적인 관심이 집중되거나 인적·물적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해야 하는 전국 단위 대형 부정부패 사건의 수사를 전담해 한시적으로 운용할 예정”이라며 “단장과 팀장에는 특별수사 분야에서 능력과 자질이 검증된 최우수 자원을 배치했다”고 말했다.
한편 대검 중수부는 지난 1949년 12월 검찰청법에 중앙수사국을 설치하는 규정이 생긴 뒤 1961년 등장한 대검 중앙수사국에 그 모태를 두고 있다.
이후 1981년 제5공화국 당시 대검 중앙수사부로 명칭을 바꾼 뒤 대형 비리사건 등을 수사해왔다.
그러나 정치적 중립성이 끊임없이 도마에 올랐고 이후 박근혜 대통령의 선거공약과 국회의 요구로 지난 2013년 4월 23일 폐지됐다.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대검찰청. 오장환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