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SK텔레콤은 LTE와 3G 등 무선서비스에서, KT는 와이파이와 와이브로 서비스에서 두각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LG유플러스는 LTE 업로드 속도가 두드러졌다.
미래창조과학부는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LTE서비스에서는 SK텔레콤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광대역 LTE-A와 광대역 LTE에서 SK텔레콤의 전송속도(다운로드)는 115.54Mbps와 71.49Mbps로 3사 중 1위를 차지했다. 광대역 LTE-A는 KT가 106.68Mbps, LG유플러스가 106.32Mbps로 뒤를 이었다. 광대역 LTE는 KT가 65.66Mbps, LG유플러스가 65.19Mbps로 나타났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지난해는 2위 사업자와의 전송속도 격차가 3.7Mbps정도였다면 올해는 8.8Mbps까지 차이난다”며 “지속적으로 무선통신 품질관리에 신경 쓴 결과”라고 설명했다.
전국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LTE를 활용할 수 있는 통신사는 SK텔레콤이다. 현재 가장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3밴드 LTE-A가 측정된 지역 비율은 SK텔레콤 51.4%, LG유플러스 34.59%, KT 19.42%다. 3밴드LTE-A 관련 투자에 SK텔레콤이 가장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고 KT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3밴드 LTE-A는 3개 대역 주파수 묶음기술(Carrier Aggregation·CA)을 적용해 최고 300Mbps(초당메가비트)의 속도를 구현했다. 이는 기존 LTE 속도의 4배다.
3G 전송속도(다운로드)도 SK텔레콤은 5.18, KT는 4.32으로 SK텔레콤이 앞섰다. LG유플러스의 2세대(2G) 이동통신 속도는 다운로드 0.88Mbps 업로드 0.38Mbps 수준이다.
이날 전체 LTE 서비스와 3밴드 LTE-A 서비스의 다운로드 속도는 3사 평균으로 발표됐다. 전체 LTE 서비스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17.51Mbps로 해외 주요선진국(북미 40.03Mbps, 아시아33.77Mbps, 유럽30.51Mbps) 대비 매우 우수한 수준이며 유선 초고속인터넷(100Mbps급) 보다도 빠른 것으로 측정됐다.
3밴드 LTE-A 다운로드는 163.01Mbps로 광대역 LTE-A보다 1.5배 빨랐고 3G의 다운로드 속도는 4.75Mbps로 측정됐다.
KT는 와이파이와 와이브로가 가장 빨랐다. KT는 와이파이 다운로드 속도가 112.31Mbps으로 가장 빨랐고 SK텔레콤은 104.49Mbps, LG유플러스는 59.16Mbps로 나타났다. KT관계자는 “와이파이 통신이 유선을 기반으로 무선신호로 바꾸는 것인 만큼 유선에 강한 KT가 선전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와이브로 다운로드 속도는 KT는 7.74Mbps로 Sk텔레콤 4.08Mbps과 비교해 2배에 가까운 수치였다. 전송성공률도 KT는 97.17 Sk텔레콤 91.38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었다.
LG유플러스는 LTE 업로드 속도가 높았다. LTE 전체 업로드 속도에서 31.74Mbps로 선두를 차지했다. SK텔레콤이 30.40Mbps, KT가 18.39Mbps로 그 뒤를 이었다.
유선 기가인터넷(1Gbps급) 평균 속도는 다운로드 923.04Mbps 업로드 949.48Mbps로 측정됐다. 초고속인터넷(100Mbps급)의 평균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는 각각 99.3Mbps와 99.4Mbps로 나타났다.이동통신 3사의 LTE 서비스 속도 측정 결과.<표제공=미래부>이동통신 3사의 와이파이 속도 측정 결과.<표제공=미래부>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