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공정거래위원회 |
(서울=포커스뉴스) 공정거래위원회가 내달 시멘트업계에 담합 관련 대규모 과징금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실제 부과될 과징금 액수가 당초 예고된 규모보다 훨씬 적을 것이라는 소문이 나오고 있다. 이는 최근 쌍용양회 매각 입찰에 한일시멘트와 한앤컴퍼니가 참여하면서 더욱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29일 건설 및 시멘트업계 등에 따르면, 무려 1조1800억원의 과징금을 예고한 공정위가 업계의 소명과 리니언시(담합 등을 자진 신고한 기업에 과징금을 감면해주는 제도) 등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과징금 규모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이라는 소문이 나오는 것. 일각에서는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희망 섞인 얘기도 들린다.
이는 최근 쌍용양회 매각 입찰에 동종업계의 한일시멘트와 한앤컴퍼니가 참여하면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만약 조단위의 과징금이 확정되면 시멘트업계 시장점유율 1위인 쌍용양회가 수천억원을 부담할 수도 있는데, 이런 상황하에서도 경쟁 입찰 요건이 갖춰지고 있어 실제 과징금이 훨씬 낮은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비록 유력한 인수후보 중 하나였던 유진기업이 입찰에 불참했지만, 과징금이 직접적인 이유는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유진기업의 시선은 같은 레미콘 기업인 ㈜동양에 쏠려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과징금 액수에 대해 충분히 소명했고 공정위도 비교적 긍정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안다"며 "일단 쌍용양회 매각이 유찰되지 않는 것만 봐도, 인수후보들이 어느 정도 관련 정보를 습득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정위는 지난달 가격담합 혐의가 적발된 쌍용양회, 한일시멘트 등 7개 시멘트업체에 1조1800억원이라는 사상 최대의 과징금 부과를 예고한 바 있다. 공정위는 시멘트업체 7곳이 5년간 12조원 넘게 가격을 담합한 것으로 봤다.
이에 시멘트업체들은 담합이 아닌 산업통상자원부의 행정지도에 따른 것이라고 소명하는 등 제재 강도를 낮추기위해 노력해왔다.쌍용양회의 최근 3개월 주가 추이.(자료출처=네이버)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