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우리나라 국민의 순자산이 2008년말 8118조5000억원에서 2013년말 1경1039조2000억원으로 기간 중 3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과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국민대차대조표 작성 변경사항'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민순자산은 2008년말 7.4배에서 2013년말 7.7배로 상승했다.
2009~2013년 중 생산자산은 34.4% 늘어났으며 이 중 고정자산 34.5%와 재고자산 33.7%가 각각 증가했다.
비생산자산의 경우 토지자산이 35.5% 늘어났고 지하자원 및 입목자산은 각각 14.9%, 84.3% 올랐다. 제도부문별 순자산은 2008년 이후 일반정부가 40.0%로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가계 및 비영리단체(37.7%), 비금융법인기업(26.5%), 금융법인기업(5.6%) 순으로 늘어났다.
우리나라 재고자산의 GDP 대비 비율은 1970년 32.1%에서 1980년 41.2%로 높아진 후 꾸준히 하향 추세를 보였으나 2003년부터는 완만하나마 반등세를 보였다. 경제활동별로는 농림어업 재고의 비중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1990년대 이후 광업‧제조업과 도소매업의 재고 비중이 75%를 웃돌았다.
우리나라 재고자산의 GDP대비 비율은 OECD주요국과 유사한 변동패턴을 보였으며 그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됐다. 국내 재고수준이 높은 것은 재고보유 필요성이 높은 제조업과 수출입의 GDP 대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에 기인했다.
한편 이번에 발표한 국민대차대조표는 자금순환표 및 금융자산부채잔액표의 소급편제(2008~2010년)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한국은행은 국민대차대조표 시계열을 현행 2012년 이후에서 2009년 이후로 연장키로 했다. 2016년부터는 2013년 확정 및 2014년 잠정뿐만 아니라 2015년에 대한 국민대차대조표의 잠정 추계결과도 공표된다.
우선 국민소득 통계기준을 UN에서 정한 2008SNA(System of National Accounts) 기준 자금순환표와 금융자산부채잔액표의 소급편제 결과를 반영해, 국민대차대조표의 시계열을 현행 2012년 이후에서 2009년 이후로 소급 연장한다.
조태형 한은 국민B/S 팀장은 "금융자산부채 잔액표를 연장한 것은 한두해 만으로 시계열을 이해하기엔 시기가 짧다고 판단했다"며 "어느 정도 기간가 길어야 이해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자료제공=한국은행>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